사회복지학 석사학위 논문
노인종합복지관 프로그램 참여가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Study about Influence that have an effect on Living Satisfaction of the Older on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of Seniors' Welfare Center
2007년 8월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전공
이 종 옥
노인종합복지관 프로그램 참여가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Study about Influence that have an effect on Living Satisfaction of the Older on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of Seniors' Welfare Center
지 도 교 수 한 형 수
이 논 문 을 석 사 학 위 논 문 으 로 제 출 함
2007년 6월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 전공
이 종 옥
이종옥의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장 (인)
심사위원 (인)
심사위원 b 인)
2007년 6월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감사의 글
그동안 학문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시고 지도하여 주신 한형수 교수님, 김연옥교수님, 이준영 교수님, 이성규 교수님, 김주일 교수님, 정혜숙 교수님, 이상일 교수님, 감사합니다.
논문의 처음부터 끝까지 아낌없는 지도와 격려, 배려, 세심한 지도로 이끌어 주신 한형수 교수님께 깊은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학문을 함께 할 수 있었던 여러 원우님들 모두 모두 고맙고 감사합니다. 영원토록 소중한 추억으로 간직할 것입니다.
나이도 잊고 배우려는 못난 딸의 의지 때문에 늘 미안하고 안쓰러운 눈으로 바라만 볼 수밖에 없어 안타까워 하셨던 80중반의 아버지, 어머니, 건강하게 계신 것만 으로도 늘 든든하여 용기백배할 수 있었습니다. 고맙습니다.
설문지를 받도록 협조해주신 강동노인종합복지관과 도봉노인종합복지관 관계자분들, 설문지에 응답하여 주신 여러 어르신들께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설문지를 통계분석 하여 준 서배근 선생님도 감사합니다. 그리고 컴퓨터를 치다가 잘 모르면 가르쳐주고 도와 준 사회복지법인 생명의전화 가족 여러분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동생 “종대야 너도 고맙다” 졸업할 때까지 A4용지와 거마비 대느라 애썼다.
학문에 대한 열정으로 도전하여 합격의 소식에 ‘오장육부도 다 즐거워 한다’ 고 기쁨의 문자 메시지를 아들에게 보냈었습니다. 그러나 한편, 저로 인하여 학문의 기회를 놓친 젊은 학도에게는 미안함을 금할 수가 없었습니다. 배운 학문을 사회에 기여할 기회가 길지 않다는 현실적인 저의 여건으로 더욱 미안하였습니다. 그러하나 열심히 배워 산속의 옹달샘처럼 사회의 미소한 부분에서 라도 봉사하겠다는 일념으로 학문에 전념하였습니다. 아직은 부족하지만 사회복지사로서 사명감을 가지고 봉사하려고 합니다.
나이가 들었음에도 공부하겠다는 어미의 말에 기꺼이 허락해 주고 아낌없는 지지와 격려를 해준 아들 진호, 며느리 해경에게도 고마움을 전한다. 박사과정을 밟으면서 어미의 학비까지 대느라 고생이 되겠기에, “미안하다”는 말을 하였을 때, 며느리의 “어머니 당연한 일인걸요” 라며 환하게 웃으며 용기주고 위로의 말을 아끼지 않았던 해경에게 다시 한 번 더 “감사하고 고맙다” 는 말을 또 하고 싶구나.
나를 아는 모든 이들의 기도와 격려, 도움도 고맙고 감사하여 눈물이 납니다.
그리고, 하늘에 먼저 간 사랑하는 남편 박우용에게도 이 기쁨과 감사의 글을 보냅니다.
오늘이 있기까지 은혜를 베풀어 주신 하느님께 감사와 영광을 드립니다.
국문초록
한국노인의 평균기대 수명은 1981년 66.2세, 2001년 76.5세, 2005년 78.6세로 늘어났으며, 2020년 81.0세, 2050년에는 83.3세가 될 전망이다. 여자노인의 경우는 무려 86.6세(통계청, 2005)로 나타나고 있어, 인간의 평균수명 90세도 머지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평균수명 연장은 축복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이로 인한 심각한 노인문제들이 산출되고 있다. 그러므로 노인의 인간다운 삶, 만족스러운 노후 생활 등이 향후 사회적인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노년인구의 빠른 증가 속도로 노인들에 대한 국가적, 사회적으로 시급한 대책마련을 요청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종합복지관에서 지원하는 사회활동 프로그램, 즉 여가활동, 자원봉사활동, 경제활동 지원 프로그램들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노인종합복지관 프로그램이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생활만족도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인정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복지관 이용에 관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자체 제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서울의 27개 노인종합복지관 중에서 2곳을 무작위 선정하여 이곳을 이용하는 노인들에 대하여 일대일 면접방법을 사용하였다. 참여대상은 130명이었으나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119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지의 원자료는 SPSS 13.0 Program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평균차이분석(T-test), 분산분석(ANOVA) 그리고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여 노인복지관 프로그램 참여와 생활만족도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노인종합복지관 프로그램 이용정도와 노인의 생활만족도간의 관계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자원봉사를 하는 노인과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T-test실시결과, 자원봉사유무에 따라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복지관에서는 노인들의 잔존 능력과 욕구 등을 감안하여 적극적으로 자원봉사활동을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기존에 진행하고 있는 자원봉사활동은 더욱 동기 부여시키고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둘째, ‘여가활동 프로그램’ 과 ‘지적인 프로그램’ 참여의 생활만족도간의 관계분석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기간이 길수록, 매월 참여횟수가 많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여가의 목적자체가 개인의 삶을 풍요롭게 하여 궁극적으로는 생활의 만족으로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있다고 한다면 지적인 영역의 프로그램을 더욱 알차게 개발하고 노인들로 하여금 여가를 보다 창의적으로 만들어갈 수 있는 역량을 키워줄 수 있어야 하겠다.
음악, 미술, 전통문화, 종이접기, 영화감상, 생신축하 등과 같은 정의적 영역 프로그램들은 생활만족도와는 관계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의적 영역 프로그램들이 ‘심리적인 안정’이나 ‘사는 것에 대한 보람’ 그리고 ‘현재 행복한 감정’과 같은 생활만족도를 진작시킬 수 있도록 방법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사회적 영역 프로그램’ 참여와 생활만족도간의 관계분석 결과는, 봉사활동이나 자치활동, 경연대회와 각종 행사의 프로그램에 참여해온 기간이 길수록 사회적 생활만족도 역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시적인 회원확충을 위한 노력보다는 장기적이고 지속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인적 관리방안을 철저히 수립할 필요가 있다.
셋째, 노인의 일반적인 사항에 따른 생활만족도 차이여부의 분석결과는, 성별과 교육수준 그리고 종교유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점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노인의 건강상태, 배우자 유무, 동거가족 유형은 유의수준 0.01에서 높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연령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분석결과, 연령이 높아질수록 신체적, 정의적, 사회적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노인의 일반적인 사항들은 노인복지관 차원에서 개선시킬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참고하여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넷째, 가족의 지지정도와 생활만족도간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족의 지지가 많아질수록 ‘신체적 생활만족도’와 ‘정의적 생활만족도’ 그리고 ‘사회적 생활만족도’의 상관계수가 각각 0.951과 0.974 그리고 0.956으로 매우 높은 수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적인 생활 만족도는 가족의 지지정도에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지지는 스트레스 생활경험에 대한 완충작용을 함으로써 노인의 정신건강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노인복지관에서는 노인들이 가족들의 지지를 받을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노인의 가족들에 대한 교육 또는 상담사업 등이 필요할 것이다.
다섯째, 본 연구의 목적 중에는 노인의 경제활동에 따라 생활만족도의 차이여부가 포함되어 있었으나 조사결과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노인이 너무 적어 통계적인 분석이 어려웠다. 따라서 향후 후속연구에서는 노인복지관 경제활동 프로그램과 노인의 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고 본다.
이런 점에서 향후 노인요양보험제도와 같은 정책추진과정에서 노인복지관과 같은 노인여가복지시설의 확충의 필요와 보다 전문화되고 체계적인 프로그램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관련 전문가들의 적극적인 활용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주요어 ; 생활만족도
- 일반적 특성
- 사회활동프로그램참여
- 생활형태
목 차
제Ⅰ장 서 론1
제 1 절 연구의 목적1
제 2 절 연구의 내용5
제 3 절 선행연구 검토6
제 Ⅱ 장 이론적 배경9
제 1 절 노인의 생활만족도9
1. 생활만족도의 개념9
2.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11
제 2 절 노인의 사회참여활동의 현황21
1. 여가활동22
2. 자원봉사활동26
제 3 절 노인종합복지관29
1. 노인종합복지관의 개념과 역할29
2. 노인종합복지관의 프로그램31
제 4 절 노인종합복지관프로그램참여와 노인의 생활만족도35
제Ⅲ장 연구의 방법39
제 1 절 조사목적 및 조사대상의 선정39
제 2 절 설문지 구성 및 조사도구40
제 3 절 분석방법42
제Ⅳ장 각 영역별 프로그램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분석43
제 1 절 노인의 일반사항 및 생활상태43
제 2 절 노인의 경제활동 및 자원봉사활동60
제 3 절 신체적 영역 프로그램참여와 생활만족도67
제 4 절 지적 영역 프로그램참여와 생활만족도68
제 5 절 정의적 영역 프로그램참여와 생활만족도70
제 6 절 사회적 영역 프로그램참여와 생활만족도73
제 Ⅴ 장 각 영역별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75
제 1 절 신체적 영역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 75
제 2 절 지적 영역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76
제 3 절 정의적 영역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78
제 4 절 사회적 영역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79
제Ⅵ장 결론82
제 1 절 요약82
제 2 절 제언84
참고문헌88
부록(설문지)93
ABSTACT104
<표 목차>
표-1 응답자의 연령대43
표-2 응답자의 남녀비율43
표-3 응답자의 교육수준44
표-4 응답자의 건강상태45
표-5 응답자의 결혼상태45
표-6 응답자의 가족유형46
표-7 응답자의 종교유형47
표-8 경제적 원조대상 여부47
표-9 응답자의 한 달 용돈48
표-10 한 달 수입 충당 방법48
표-11 성별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평균차이50
표-12 교육수준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평균차이51
표-13 건강상태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평균차이53
표-14 결혼상태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평균차이55
표-15 동거가족유형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평균차이57
표-16 종교유형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평균차이58
표-17 연령, 종교활동횟수, 한달용돈과 생활만족도간의 관계60
표-18 노인복지관 취업알선을 통해 일하고 있는지의 유무61
표-19 근로종류, 평균 근로기간, 평균수입61
표-20 한 달 수입에 대한 만족여부62
표-21 자원봉사활동 유무62
표-22 자원봉사활동 종류63
표-23 자원봉사 유무와 생활만족도간의 평균차이분석64
표-24 자원봉사경력과 생활만족도간의 상관관계66
표-25 신체적영역프로그램 참여와 신체적영역 생활만족도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68
표-26 지적영역프로그램 참여와 지적 생활만족도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70
표-27 정의적 영역프로그램 참여와 정의적 생활만족도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72
표-28 사회적 영역 프로그램 참여와 사회적 생활만족도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74
표-29 신체적 영역 프로그램의 개선방안76
표-30 지적영역 프로그램의 개선방안78
표-31 정의적 영역 프로그램의 개선방안79
표-32 사회적 영역 프로그램의 개선방안81
제 Ⅰ 장 서 론
제 1 절 연구의 목적
우리나라 노인인구의 증가는 1980년대에는 65세 이상 노인이 전체인구의 3.8%였으나, 1995년에는 5.9%, 2000년에는 339.5만 명으로 7%를 넘어서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으며, 2005년에는 438.3만 명으로 9.1%의 증가로 본격적인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가 되었다. 통계청 2005년도 「장래인구특별추계」로는 향후 2018년도에 노인인구 716.2만 명으로 비율이 14.3%가 되어 고령사회(aged society)에 진입하고, 2026년에는 1034.7만 명으로 노인인구가 전체인구의 20.8%로 초 고령사회(super aged)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되어, 다양한 형태의 심각한 노인문제 발생이 예상된다고 할 수 있겠다(통계청, 2005).
또한 한국노인의 평균기대 수명은 1981년 66.2세, 2001년 76.5세, 2005년 78.6세로 늘어났으며, 2020년 81.0세, 2050년에는 83.3세가 될 전망이다. 여자노인의 경우는 무려 86.6세(통계청, 2005)로 나타나고 있어, 인간의 평균수명 90세도 머지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평균수명 연장은 새로운 축복의 도래 일 수 있으나, 이로 인한 노인인구의 급증은 심각한 과제들을 산출하고 있다. ‘적재되는 노년’ 때문에 생겨 날 수 있는 사회·문화적 갈등, 생산현장에서 젊은 근로자와의 경쟁력약화, 사적·공적 노인부양에 대한 도덕윤리의 붕괴, 현대판 ‘고려장’을 상기시키는 ‘노인 학대 및 유기’와 같은 도덕적 해이, 생을 비관한 노인들의 자살, 가출 및 노인범죄 등이 바로 그것이다(임춘식, 2002).
고령화에 따른 문제는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정부와 사회 전체의 관심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으나 대응력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2003년부터 시작된 참여정부의 복지정책은 사회적 취약 계층에만 국한되지 않고 국민 모두가 똑같은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이 중 노인일자리, 경로연금제도, 노인요양보험, 평생교육 활성화 등 노인복지 차원을 넘어선 종합적인 고령사회 대책 수립도 포함되고 있다. 또한 2003년 대통령직속기구로 인구·고령사회대책팀을 구성하고, 2004년에는 고령사회대책기본법 제정을 추진하였고, 2005년 4월 ‘저 출산·고령사회기본법’이 국회를 통과하기도 했다. 그러나 짧은 기간 동안에 급격한 고령화 충격을 극복해 나가기에는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매우 다양하다. 선행연구를 종합해 보면, 신체적인 측면에서는 주로 건강이나 질병, 신체적 활동과 관련된 요인(건강상태 지각이나 질병관련 증상, 질병으로 인해 발생한 문제, 치료형태 또는 일상생활 능력)이 있고, 개인적인 측면에서는 강인성이나 건강통제위 등이 있다. 정서·인지적인 측면에서는 우울, 불안, 무력감, 희망,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대처 등이 있고, 환경적인 측면에서는 사회적 지지(가족 및 의료요인 지지), 경제적 상태, 대인관계, 사회참여, 직업, 교육프로그램 등이 있으며, 인구학적 측면에서는 연령, 교육정도, 결혼상태, 종교 등이 있다. 이처럼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다양하기 때문에 어느 한두 가지가 해결된다고 해서 삶의 질이 크게 변화된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렇다고 노인들 스스로 자신들의 삶을 책임지라고 하기에는 현재 노인 문제가 매우 심각하고, 사회통합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정부 뿐 아니라 민간의 다양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조직으로 노인종합복지관이 있다. 노인 종합복지관은 노인복지법 제36조에 규정한 노인여가시설로써 무료 또는 저렴한 요금으로 노인에 대하여 각종 상담에 응하고, 건강의 증진, 교양, 오락, 기타 노인의 복지증진에 필요한 편의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이다.
우리나라의 노인복지시설은 사회복지법인에서 운영주체가 되어 시설을 설치 ·운영하고 있으며 그 외 종교재단 등 비영리법인이 일부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사회복지시설의 재정자립도는 상당히 낮은 실정이며 시행되는 복지프로그램 역시 매우 단편적이고 초보적인 성격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노인복지시설이 그 이용대상인 노인들의 복지 및 생활만족도 향상에 효과적으로 기여한다고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 반면, 노인종합복지관은 노인들이 일상생활 면에서 가정의 범주 속에서는 충족시킬 수 없는 제반 욕구를 사회적 기능을 통해서 해결해주고 있으며, 여가활동과 자원봉사활동 그리고 경제활동과 같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사회활동의 지원까지 그 영역이 넓어지고 있음을 간과할 수 없다..
노인의 사회참여는 노인이 자신들의 새로운 역할을 찾아 사회활동을 수행하게 되어 소외감이나 열등감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며, 보람을 가지고 지역주민들과 통합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은 궁극적으로 노인들에게 삶의 의미와 보람을 갖게 함으로써 노후생활의 만족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고 하겠다. 그러나 노인종합복지관에서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프로그램들이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노인종합복지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들은 응급지원서비스에서부터 교양강좌까지 그 목적과 기능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이 모든 프로그램이 노인의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고 보장할 수는 없다. 그러나 노인종합복지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여가활동, 봉사활동, 경제활동과 같은 사회활동 지원프로그램들은 그 저변에서 생활만족도를 높이려는 의도가 내포되어 있다. 이 같은 사회활동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연구는 그동안 많이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노인종합복지관의 사회활동프로그램들이 어느 정도의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하다. 단지 복지관 시설 이용여부에 따른 생활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정도에 그치고 있다.
선행연구들에 의해서는 노인종합복지관 각각의 프로그램들과 노인의 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볼 수 없고,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형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지 못함으로 추후 프로그램 개선방안의 제시에 한계가 있다.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 사회적 요인 중에서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그리고 사회적 지지는 노인종합복지관 프로그램에서 추구하는 주요 목표들이다. 그러므로 이 같은 심리, 사회적 특성들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밝혀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노인종합복지관에서 지원하는 사회활동 프로그램, 즉 여가활동, 자원봉사활동, 경제활동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어떤 관계가 있으며 어느 정도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그리고 노인종합복지관 프로그램이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의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써 노인종합복지관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 2 절 연구의 내용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고령화가 세계적으로 유례없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어,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사회문제에 적응할 수 있는 충분한 여유가 없는 상태에서 노인들이 설 곳을 잃고 무기력한 생활을 보낼 수밖에 없는 수많은 노인들의 생활만족도를 고양시키고 만족스러운 생활을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출발하였다.
노인종합복지관은 지역사회 단위에서 노인들이 자주 이용하는 대표적인 여가 복지시설로써 노인들의 생활과 매우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고, 그 기능과 역할이 노인의 전반적인 복지 향상에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그 역할과 책임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노인종합복지관 프로그램이 지역적 특성이나 노인의 삶의 질에 맞추어 실시되기보다는 일반화된 프로그램을 답습하는 수준이라는 비판도 제기되는 실정이므로 해당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을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더욱이 노인종합복지관 프로그램과 삶의 질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에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인종합복지관의 향후 과제를 도출하기에도 어려움이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밝히고자하는 주요 연구내용은 아래와 같이 정리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노인종합복지관 프로그램 중 자원봉사활동과 여가활동 그리고 사회활동 지원 프로그램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각 프로그램 참여방법에 따라 생활만족도에 어떤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둘째, 노인 종합복지관 프로그램 이용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밝혀내는 것이다.
그리고 노인종합복지관 프로그램 뿐 아니라 성별, 연령, 교육수준, 건강상태와 같은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가족형태나 종교생활, 경제수준과 같은 일상생활과 관련된 변인을 모두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이것은 노인종합복지관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것이 다른 일반적인 변인들과 비교해서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어느 정도 영향력이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제 3 절 선행연구 검토
본 연구를 위해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노인종합복지관과 노인의 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는 못했고, 주로 노인종합복지관 프로그램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음을 파악 할 수 있었다.
노인종합복지관과 노인의 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우선 살펴보면, 차성환(1999)의 연구에서 노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한 노인과 그렇지 않은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복지관을 이용한 노인이 이용하지 않은 노인에 비해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경우 노인종합복지관과 노인의 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파악하려는 시도는 의미가 있으나 노인종합복지관 이용여부가 중심이고, 각각의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만족도만 물어보았을 뿐 각각의 프로그램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파악하지 못하였다. 즉, 노인종합복지관 이용의 질과 양에 따라 결과는 매우 다양하게 산출될 수 있음에도 이런 점을 간과하고 있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된다. 아울러 복지관 이용에 대해 얼마나 자주 이용하는가, 얼마동안 이용하였는가와 같은 주요 변수와의 관계를 보지 않은 점이 문제로 제기된다.
이지연(2003)의 연구는 노인종합복지관을 포함하여 전체 노인복지시설 이용 여부와 노인의 삶의 질 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는데, 노인복지시설이용 노인의 삶의 질은 비이용 노인보다 높게 나타났다. 즉 시설복지와 재가복지를 이용하는 노인들이 ‘삶의 질이 높은 집단(상)’인 반면, 노인복지시설을 이용하지 않는 노인들은 ‘삶의 질이 낮은 집단(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지연은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고령사회의 다양한 노인계층의 복지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 국가와 사회는 제도적 노인복지정책의 실천도구로써 각종 노인복지시설을 활용해야 하며 이에 필요한 재정 및 예산확보를 위한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야 한다는 제안을 하고 있다. 연구의 취지는 이처럼 정책적 제안을 위해 필요한 것이었으나 차성환(1999)의 연구의 경우처럼 시설이용여부에 그쳤다는 점에서 한계로 지적된다.
송정희(2004)의 연구는 노인종합복지관에서 실시되고 있는 프로그램들을 생활만족도 측정 기준에 따라 신체적, 지적, 정의적, 사회적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프로그램 이용실태와 생활 만족도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신체적 영역 프로그램과 지적영역프로그램, 사회적 영역프로그램의 이용도가 높을수록 지적영역 생활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세 가지 영역의 프로그램 이용이 노인의 지적인 생활에 만족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회적 영역의 프로그램 이용은 정의적 영역을 제외한 세 가지 영역 즉 신체적 영역, 지적 영역, 사회적 영역의 생활만족도를 높여 주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영역의 프로그램은 노인의 전반적인 생활에 만족을 주는 것으로 파악이 되었다. 송정희(2004)의 연구는 프로그램의 유형을 생활 만족도 측정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그에 따른 상관관계를 규명했을 뿐 아니라 노인종합복지관 이용여부에 그치지 않고 각 프로그램의 유형과 이용형태, 즉 이용기간, 빈도, 만족도 등을 고려했다는 점에서 노인종합복지관의 각각의 프로그램과 노인의 삶의 질과의 관계를 보다 심층적이고 폭넓게 연구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아쉬운 점은 노인의 삶의 질 또는 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준 요인에 대해서는 파악하지 않아 여러 프로그램 중에서 가장 영향력이 높은 프로그램은 무엇이고 해당 프로그램의 빈도나 기간 등이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이승범(2003)의 연구는 사회체육관련 논문이지만 노인종합복지관의 사회교육 프로그램 중 운동과 관계된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과 노인의 삶의 질과의 관련성에서 연구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고 하겠다. 이승범의 연구는 신체적 삶의 질과 관련하여 노화호르몬, 심폐지구력, 근지구력, 유연성, 평형성 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프로그램이 무엇이고, 정서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에서의 삶의 질에 영향을 끼치는 프로그램이 무엇인지를 밝혀내는데 주력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운동이 노인의 삶에 중요하다는 것과 노인종합복지관에서 실시되고 있는 운동 프로그램은 어느 정도 영향력이 있는가를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그러나 노인종합복지관에서 실시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포괄할 수 없었고, 노인여성에게 한정시켰다는 점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처럼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노인종합복지관 이용여부와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더 나아가 각 프로그램과 생활만족도와의 한계성까지 연구가 이루어지기는 하였으나 특정 프로그램에 한정되었다는 점과 각각의 프로그램에 어떻게 참여하였는가에 따라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얼마만큼의 영향력을 행사하였는지는 밝히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 Ⅱ 장 이론적 배경
제 1 절 노인의 생활만족도
1. 생활만족도 개념
노년사회학에서 생활만족도라는 개념이 일반화 된 것은 1961년 Neugarten, Havighurst, 그리고 Tobin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지표(Life Sation Index)를 개발한 이후부터로 보고 있다. 그 이후 1979년 George가 생활만족도를 새로이 개념정의하기 이전까지는 생활만족도라는 개념은 주로 '사기(Morale)' 또는 ‘행복감(Happiness)'이라는 개념과 상호교환적으로 또는 혼용되어 왔다. 그러나 George는 이러한 개념의 혼용작용에 대하여 사기, 행복감은 생활만족도라는 개념과는 각기 구분되는 개념으로 파악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세 가지 개념으로 구분하여 정의하였다. 즉, 사기는 ’용기, 훈련, 확신, 열의 및 고난을 참고자하는 의지에 대한 정신적인 상태‘로서 현재와 미래의 상태에 대한 평가와 기대라고 보았으며, 행복도는 ’현재의 유래한 감정을 느끼는 일반적인 기분‘이라고 봄으로써 현재의 상태에 대한 평가를 주안점으로 삼는 것으로 보았다. 생활만족이라는 개념은 매우 다양한 측면과 관련해서 이해하고 있다. 예를 들면, 생활만족이란 일상 활동으로부터 기쁨을 느끼고, 자신의 생활에 대해서 의미와 책임감을 지니며, 자신의 목적에 대한 성취감 및 자신에 대한 긍정적 자아상을 가지고 있는 상태이다(Neugarten, Havighurst & Tobin, 1961). 또한, 생활만족은 자신의 생애를 의미 있게 받아들이고 적어도 중요한 목표를 달성했다고 느끼며, 주위의 환경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고, 정서적 및 사회적으로 어려움 없이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정도이다(Kalish, 1975). 뿐만 아니라, 생활만족은 생활전체에 대한 행복과 만족의 주관적 감정 혹은 일종의 태도로서 개인의 정신건강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Medley, 1976).
Burr(1970)는 생활만족도란 지금까지 살아온 생활전반에 걸쳐 느끼는 주관적인 감정에 대한 판단이며 기대에 대한 충족정도로 볼 수 있다. 즉 물질적이든 정신적이든 간에 인간이 심리적으로 또는 주관적으로 느끼는 느낌으로서, 일정한 목표나 욕구의 달성에 대한 한 개인의 주관적 감정상태를 말한다고 하였으며, Havighurst(1968)는 생활만족이란 개인이 자신의 현재 지위와 활동에 대하여 갖는 만족감이라고 정의하기도 한다. 박종우·김춘택(2006)은 생활만족도는 개인의 소망과 전반적인 성취정도를 비교하여 생활 상태를 평가한 것이다. 즉 소망한 바와 달성한 목표가 합치된 상태로 사기와 함께 중요한 부분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생활만족도란, 다양하고 포괄적이고, 함축적이며, 개인이 추구하는 가치지향이나 가치 기준에 따라 다르게 되고, 개인 스스로도 어떻게 받아들이고 해석하는가에 따라 느끼는 생활만족도의 수준이 크게 달라 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럼으로 생활만족도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은 주관적인 요소와 객관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주관적인 만족감이나 행복은 객관적인 상황에서 주관적으로 느낄 수 있는 감정에 의하여 연유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노인의 생활만족도라는 것은 일반적으로 노인이 지금까지 살아온 생활전반에 걸쳐 성취하고자 하는 목적을 의지를 가지고 생활해 나가면서 느끼는 주관적인 행복감 또는 충족감 즉, 단순한 물질적 풍요이상의 포괄적이고 중요한 다른 차원으로서의 심리적인 만족감 등을 의미하는 개념이다, 라고 정의하고자 한다.
2.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일반적으로 노인의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매우 다양하다. 이우복(1993)의 연구에서는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건강상태, 동거가족상태, 생활수준, 교육수준 과거직업, 종교, 사회교육참여, 노인의 지각 연령 등이었다. 김수연(1987)의 연구에서는 성별, 연령 건강, 경제수준, 용돈, 사회참여도, 가족응집력, 종교가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김옥수(1987)는 건강이 좋고, 사회경제적 수준이 높으며, 자녀와의 유대관계가 긍정적일 때, 그리고 사회적 참여정도가 높을 때 생활만족도가 높음을 보고하였다. 이처럼, 기존의 연구에 따르면 일상적인 삶과 관련된 거의 모든 변인들이 노인들의 생활만족에 관련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많은 변인들이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관여하고 있다. 또한 생활만족도는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생활만족이란 개념이 포괄적이고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수용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지표구성들이 제시되어 왔다.
Neugarten(1968)은 생활만족도 지표(LISA)를 5가지 영역으로 분류하여 구성하였다. 즉 (1)생애에 대한 만족도, (2)생을 인정하고 수용하는 정도, (3)인생의 목적에 대한 성취감, (4)긍정적인 자아상, (5)낙관적 태도 등이다.
그럼으로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은 단편적인 어느 영역에 한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다양하고 포괄적이라고 할 수 있다.
1) 노인의 개인 특성 관련요인
(1) 연령
일반적으로 연령은 은퇴와 정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이해되어 진다. 즉 연령이 증가할수록 은퇴상태에 있을 가능성은 높아진다는 것이다. 아마도 이러한 도식적인 이해는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건강상태나 체력이 저하될 것이라는 일반적인 견해와 우리나라의 경우, 현존하고 있는 정년제의 영향에서 기인한 결과로 생각되어진다.
Cutler(1979)에 의하면, 연령이 증가할수록 결혼이나 친구에 대한 만족도는 증가하는 반면, 건강이나 가족에 대한 만족도는 감소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연령이 생활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보다는 건강상태나 사회활동, 경제활동이 간접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하겠다. 그러나 Palmore & Kivett(1979)가 실시한 종단적 연구에 의하면 연령이나 성별에 따른 노인의 생활만족도에는 차이가 없다고 하였다.
(2) 성별
노인의 성별에 따른 생활만족도에 의하면, 남성노인이 여성노인에 비하여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여성노인이 남성노인보다 생활만족도가 더 높다는 연구도 있다. 일반적으로 여성노인은 남성노인에 비해 경제, 건강 수준에서 상대적으로 취약한 환경에서 생활하고 있다. 그런데도 이들 요인의 차이를 통제할 때 여성노인이 남성노인보다 생활만족도가 높다는 것은 생활환경의 요인 이외의 제 3요인이 성별 태도 차이를 규정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여성노인의 특성은 배우자의 상실과 함께 무배우자의 시기가 길어서 오는 고독, 폐경기를 맞이하면서 오는 신체적, 생물학적 변화, 가정과 사회의 일에서 은퇴하면서 발생하는 가정 내에서의 역할의 상실, 사회경제적 빈곤의 문제 그리고 노후의 심리적, 정신적 고독과 갈등의 문제를 갖게 된다. 여성노인의 빈곤 원인을 노년기의 경제적인 문제로만 간주하는 것이 아니라 여성이기 때문에 받아왔던 사회구조적인 불평등이 누적된 결과로 설명하고 여성노인의 빈곤 현실과 정책적 대안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남정림, 1992; 김미혜, 1998.).
노후생활에서의 성별 차이에 대한 본격적인 국내 연구로는 김정석(2003)의 연구를 들 수 있다. 이 연구에 의하면, 배우자 유무와 자녀동거여부가 남녀 노인의 경제적 자원과 맺는 관계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서, 여성노인이 남성노인보다 배우자나 자녀에 대한 의존성이 높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노인들의 성에 따라 이들의 개인적 혹은 가족 및 가구적 특성이 노인들의 경제적 자원상황과 다른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따라서 노인의 현황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정책적 대안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성에 따라 개별적으로 작용하는 기제 혹은 주요변인들의 함의에 대한 연구가 우선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보다 앞서 고령화를 경험하고 있는 서구의 경우에도 성별 특성에 관한 연구는 주로 여성노인의 빈곤과 관련된 연구들이 많다. 그것은 서구나 한국이나 여성의 삶의 조건이 크게 다르지 않으며, 노년기 삶의 만족도에 있어서 경제적인 문제가 그만큼 중요하기 때문이다.
(3) 결혼상태
배우자유무와 생활만족도와의 연구에 의하면, 배우자가 있는 노인이 홀로 된 노인보다 정신적 질환이나 사망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별한 노인들을 조사한 Thompson(1984)의 논문에 의하면, 배우자와 사별한 노인들의 정신적・육체적 상태는 사별전보다 악화되었고, 정신적 질환도 많았다고 하였다. 특히 여성 노인의 경우에는 배우자를 상실함으로써, 경제적 타격과 함께 사회적으로 고립되므로 배우자의 유무가 생활만족도를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된다. 게다가 남성들은 재혼율이 높지만 여성들은 혼자서 여생을 보내는 경우가 많으므로 배우자 상실에 의한 정신적 고통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기 노인보다는 후기 노인에게 있어서 결혼상태가 삶의 만족도를 결정하는데 더욱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4) 교육정도
일반적인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사회 경제적 지위가 높고, 여유 있는 생활을 즐기게 되므로 생활만족도가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있다. 고학력자 일수록 더 높은 임금과 더 좋은 근무조건을 획득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학력과 경제활동참가 사이에 강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Pencavel, 1986). 실제로 학력은 노동력의 잠재적 임금가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며(Becker, 1991), 노년층에서도 학력이 높으면 노동력 가치가 크고, 그 결과 더 오래 경제활동에 참여할 것이라고 가정해 볼 수 있다. 하지만 박경숙(2003)은 노동 상층부문에서의 취업기회가 제한될 때에는, 고학력자 노인의 경우, 하층노동에서 기대되는 임금가치보다 여가생활이나 주관적 자존감 등에 대한 기회비용을 더 높게 평가하기 때문에 취업을 포기하고 노동시장을 떠날 수 있다고 주장한다.
(5) 신체적 건강
노인에게 있어서 생리적 적응능력을 나타내는 건강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수 중의 하나이다. 건강한 노인일수록 자신의 생활에 긍정적인 태도를 갖는다. 객관적인 건강상태뿐만 아니라 자신의 건강에 대한 노인의 주관적인 평가도 생활만족도를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신체적인 건강은 젊거나 노인이거나 삶의 질에서 모든 것에 우선하는 항목이다.
(6) 정신건강(우울)
노년기에 나타나는 가장 흔한 정신질환의 하나는 우울증으로 알려져 있다. 충남 아산에 사는 65세 이상 노인 12,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역학조사 결과에 의하면, 대상노인의 21%가 우울증을 겪고 있다고 하였다. 또한 노인계층 간 차이에 있어서도 우리나라 노인 5명중 1명이 우울증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화된 면접을 사용한 한 연구에서도 우울증에 해당하는 노인은 연구대상자의 19~31%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노년기의 우울증도 심각한 변인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하겠다.
(7)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은 개인의 자신에 대한 평가로 스스로 어떻게 느끼느냐 하는 것이다(Tafe, 1986). 노인의 연령, 교육정도, 경제상태, 지각된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등이 노인의 삶의 질 예측 요인으로 설명되었으며, 그 중 자아존중감이 노인의 삶의 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생활만족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볼 때, 노인의 자아존중감은 자신의 현재 삶에 대한 평가와 유의미한 관계를 예측할 수 있는 변인으로 파악할 수 있다.
자아존중감(self-esteem)은 인간의 발달과 적응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개인의 행복감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개념으로 주변인물의 반영과 평가나, 그들과의 비교를 통해 획득되어 가는 반영된 평가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자기존재에 대해 인지적으로 형성된 것이 자아개념이고 자기 존재에 대한 느낌은 자아존중감이다. 다시 말해, 자아존중감은 자아를 긍정적 가치로서 인식하는 개념으로 다른 사람들의 수용과 인정으로부터 형성된다. 그러므로 자아존중감은 인간에게 있어 힘의 원천이며 삶의 성공적인 적응에 대한 잠재력을 강화시킨다고 할 수 있다. 자아존중감이 높은 사람은 자기 자신의 모든 생활을 영위함과 동시에 진취적이고 활력 있는 삶을 전개 하게 되고, 반면에 낮은 자아존중감을 가진 사람은 자신을 무가치하고 무능하다고 생각하여 열등감에 빠져 불안한 심리상태와 소극적인 생활태도를 갖게 된다.
모든 인간은 자기 자신을 존중하고 다른 사람들로부터 존중 받기를 원하는데 특히 노인들은 인간으로서 무엇인가에 공헌할 수 있으며 가치가 있다는 느낌을 가지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지적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노년기에는 직업, 가족 등 삶의 제반 영역에서 여러 가지 역할 상실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상실은 자아존중감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노인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문헌을 통해 배우자가 있는 노인이,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경제 상태와 생활만족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원을 많이 받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고, 노인의 자아존중감은 노년기에 경험하는 여러 가지 상실로 인한 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서 자아존중감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건강, 소외 및 노후생활문제에서 스트레스를 더 적게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노년기의 특성과 관련하여 노인은 신체기능의 저하, 은퇴, 배우자와 친구의 죽음 등으로 사회활동과 역할의 기회가 급격히 감소되며, 자신이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는 능력과 타인으로부터의 수용 및 관심, 사람이 감소되므로 자아존중감이 감소된다. 따라서 노인의 자아존중감은 노후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이다.
(8) 자기효능감
자신의 삶에 대한 평가와 관련된 연구를 살펴보면, 노인의 자기효능정도가 높을수록 일상생활 활용정도와 삶의 질 정도가 높아지며, 일상생활정도가 높을수록 삶의 질 정도가 높아짐으로써 노화를 성공적으로 이끌고 노인의 기능능력을 유지, 증진할 수 있다고 하였다.
자기효능은 개인이 결과를 얻는데 필요한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신념으로 이는 상황적 요인에 의해 거의 변화하지 않는 개인의 성격적 특성과는 분명하게 구별되며 행위의 변화 또는 지속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Bandura, 1986). 즉 자기효능이 낮으면 자신의 성격적인 결함에 집착하고 잠재적인 어려움의 가능성을 두려워하여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없지만 자기효능이 높으면 더 많은 노력을 하도록 자극 받으면서 그 상황에 필요한 주의력을 갖고 스스로 행동한다.
자기효능의 개념이 인간의 행동결정에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됨에 따라 건강관련 영역에서 만성질환자를 중심으로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었다. 특히 자기효능과 삶의 질을 연구한 논문을 살펴보면 뇌졸중 환자의 자기효능이 증가할수록 삶의 질이 증진되고 우울증이 줄어든다는 보고가 있으며, 서미례(1997)는 혈액투석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였고, 이지수(1997)도 신장이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다고 보고하였다. 자기효능감은 구체적인 자신감을 의미하는 것으로 익숙하지 않은 상황에서 얼마나 자신감을 가지고 수행하는지에 따라 자기 효능감의 효용성은 매우 높을 것이다.
2) 가족 특성관련요인
가족은 그 가족 구성원에게 소속감, 안정감, 만족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애정을 통한 정서적 역할까지 제공하며, 친구로부터의 지지보다는 가족의 지지가 유의한 효과가 있다 고 하였다. 한 사람에게 위기 발생 시 그 위기는 당사자는 물론 그 가족에게도 정서적으로 큰 위협을 주게 된다. 따라서 가족지지는 순조롭게 위기에 대처하고 변화에 적응하도록 촉진하는 역할을 하므로 가족은 노인들에게 에너지를 부여하여 노인의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질병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동거형태를 보면, 서구 사회에서는 자녀와 동거하는 노인들의 생활만족도가 낮게 나왔다. 김정석 ・ 김익기에 의하면, 자녀로부터 지원을 받기만 하는 노부모들에 비해, 지원을 주고받는 노부모들에게서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이며, 지원을 주기만 하거나 지원을 주지도 받지도 않는 노부모들에게서는 생활만족도가 낮다고 하였다.
노인의 건강상태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가족지지가 노인의 건강상태와 심리적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고, 노인이 지각한 가족지지가 높을수록 우울증이 낮게 나타나 가족지지가 정신건강에 중요한 요소임을 설명하였고, 가족지지가 높을수록 신체증상, 정신운동증상, 심리적 증상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배숙경의 연구 에서도 노인복지관 이용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가족응집력이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가족기능의 가족 응집력을 높이기 위한 가족 내 갈등 조절․완화 프로그램, 인간관계훈련 등의 질적 프로그램과 가족 만남의 빈도를 늘리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3) 사회 환경 특성 관련요인
(1) 노인의 사회참여활동
노인의 사회참여는 노인들이 그 동안 자신의 잠재능력과 열정을 발휘하여 성취하고자 하는 일이 있었지만 바쁜 직업생활과 여러 가지 이유로 할 수 없었던 일들을 시간적으로 여유가 있는 노년기 동안 실행함으로서 자아실현이 가능하도록 하게 할 수 있다.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과 의학의 발달로 평균수명이 연장되어 노년기의 생활이 점점 길어지고 있지만, 노년기 동안 노인들은 대부분 각종 만성질환에 시달리고 있으며(정경의 외, 1988:195), 소외감 고독감, 무력감, 좌절감, 부정적인 자아상, 우울증, 상실감, 절망감 등을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노년기 동안 신체적・정신적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국가와 민간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보건의료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겠지만, 노인의 사회참여도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건강한 노년을 보내기 위해서 필요한 요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노인의 사회참여는 노인이 자신들의 새로운 역할을 찾아 사회활동을 수행하게 되어 소외감이나 열등감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며, 보람을 가지고 지역주민들과 통합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한다(고양곤, 1999:137). 이것은 궁극적으로 노인들에게 삶의 의미와 보람을 갖게 함으로써 노후생활의 만족을 느낄 수 있도록 할 것이다(Tinker, 1992: 200).
노인들을 사회에 재통합시키는 것은 노인들의 요구이기도 하지만, 사회적인 부담을 줄이는 요인이기도 하다. 따라서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노인들의 4고(四苦), 빈곤, 질병, 역할상실, 소외 등으로부터 탈피 하도록 사회적 안전망도 필요하다. 사회적 안전망의 구축으로 노인들의 빈곤, 질병, 역할상실, 소외로부터 보호해 주도록 정책적인 개혁을 하여 법제화해야 한다.
(2) 주거요인
권중돈 외(2000)에 의하면 일반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노인의 주거상태를 고려한 회귀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주거편의도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의미 있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성재(1992)의 보고서에서도 우리나라 노인들에게서 주택의 문제는 주택의 소유뿐만 아니라 주택의 구조 및 설비가 노인들에게 편리하게 되어 있느냐 하는 주거 적합성의 문제가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하였다. 김익기(1999)에 의하면, 우리나라 전국의 60세 이상 노인 1,200명을 대상으로 1997년 조사한 바에 의하면, 주거에 대한 만족도를 4가지 측면인 주거내부・외부의 환경에 대한 편리성, 건강성, 안전성 그리고 사회성을 지적할 수 있으며 각각은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연관이 있었다. 주거만족도와 건강상태와의 관계는 유의적으로 나타났으며 건강할수록 주거만족도는 높았다. 고희정(1995)의 연구에서도 비슷한 주거애착감에 대해 조사한 주거만족도와 신체적 능력간의 관계가 있음을 시사 하였다. 따라서 주거요인은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연관되어 있다.
제 2 절 노인의 사회참여활동의 현황
노인의 사회참여의 형태에는 경제활동, 여가활동, 정치활동, 종교활동, 자원봉사 등과 같이 상당히 다양한 분야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이러한 활동들 중에서도 특히 노인의 소득욕구, 의료욕구, 사회활동욕구 등과 관련되어 있으며, 빈곤, 질병, 고독, 역할상실 등과 같은 노인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고 지역사회 발전에 공헌할 수 있는 분야인 경제활동, 여가활동, 및 자원봉사에 관한 것이 있다. 특히 여가활동과 자원봉사활동은 노인의 삶의 질 또는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고, 노인종합복지관에서 중점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프로그램 중 하나이며 본 연구를 위한 핵심 개념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론적인 것은 여가활동과 자원봉사활동으로 한정 하였으며, 경제활동에 대한 것은 설문지 조사에 나타난 노인의 경제활동에 대해서만 언급하기로 하겠다.
1. 여가활동
여가는 의무적이고 시간제약적인 노동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강제성과 의무성이 희박한 선택적 행위이며, 문화적 가치에 위배되지 않는 정신 및 정서적자유와 휴식, 즐거움을 추구하는 자유 활동으로서 활동 자체가 목적인 활동이라고 정의 될 수 있다(Kaplan, 1960). 하지만 여가의 개념을 정의 할 때는 시간, 활동의 내용, 활동의 질이라는 세 가지 차원에서 조작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Kelly, 1996a). 먼저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생활 총시간, 즉 24시간에서 노동, 수면, 식사 등의 기본적 욕구 충족에 필요한 생리적 필수시간, 그리고 개인에게 의미 있는 기타의 활동을 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제외한 나머지의 여가시간을 의미 한다(Murplhey, 1975; parker, 1976), 둘째, 활동의 내용을 기준으로 한 정의로서 휴식, 기분전환 사회적 성취 및 개인적 발전을 위한 활동을 여가활동으로 규정한다(Wylon, 1980). 셋째, 활동의 질을 기준으로 하여 주관적 판단에서 자유롭고 평화로움을 느끼는 활동을 여가활동으로 규정한다(McGuire et., 1996). 이러한 활동의 내용과 질을 중심으로 할 때는 여가활동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여가활동이란, 일하는 시간, 수면시간, 생리적 욕구충족 등의 시간을 뺀 나머지의 시간에 휴식, 기분전환, 사회적 성취 및 개인적인 발전을 위해 사용되는 활동을 뜻 한다. 이러한 여가활동의 범위에 대하여는 학자 간에 의견 차이가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여가활동은 개인적인 취미활동과 자원봉사 활동〮〮·종교 활동·사회교육·기타 단체 활동 등과 같은 사회활동으로 정의되고 있다. 따라서 여가활동은 기본적 욕구가 어느 정도 충족된 사회에서 논의되는 개념으로, 적극적인 여가활동을 통해 삶의 질을 평가할 수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또한 여가의 목적은 개인의 삶을 풍요롭게 하여 궁극적으로는 삶의 질을 향상하는데 있다. 이는 교육의 목적과도 일치한다. 교육은 한 개인이 여가를 건전하고 창조적으로 이용하는데 도움을 준다. 그러므로 여가교육 및 학습도 우리사회의 구성원들이 자신의 만족과 기쁨의 원천인 여가를 중요한 삶의 한 양식으로 추구하게 한다. 왜냐하면 우리 사회가 추구하는 삶의 풍요로움으로 인해 생기는 다양한 문제를 떠나서는 해결할 수 없기 때문이다. 여가를 잘 활용하는 사회는 모든 구성원들이 살고 싶어 하는 공동체이다. 그러므로 여가교육은 개인의 삶뿐만 아니라 사회적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기회이어야 한다. 노인들은 여가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개인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나아가 생활의 만족도를 올리고 심리적 안정감, 삶의 행복감 등을 향상시켜 가게 된다 결국 노인들이 자신들의 여가를 얼마나 가치 있고 의미 있게 보내느냐가 노후의 고독감 및 고립감을 해소시키고, 남은 삶의 의미를 새롭게 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
노인들의 여가생활을 돕는 기관으로 노인학교, 노인대학, 노인종합복지관 등이 운영되고 있다. 이 기관들의 목적은 노인들의 품위향상과 사회적응능력을 증진시켜 노인의 잠재력을 개발하는 데에 있다(홍기형 외, 1999; 이희수 외, 2003). 이들 기관이 사회적 네트워크 안에서 노인들의 여가생활을 운영한다는 측면에서 크고 작은 기여를 하고 있다. 이에 많은 노인들이 여가교육기관으로서 노인대학, 노인종합복지관을 선호한다. 이들 기관에서 운영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질과 운영의 개선방향 등에 관해 분석한 여러 선행연구가 있다. 이들 선행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지적되는 노인 여가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문제점을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여가 교육기관마다 개성 없는 획일적 프로그램을 나열하고 있다. 많은 노인들이 여가교육기관을 다니는 데는 그만한 유인가가 있기에, 그 유인가를 밝히고 확대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인 여가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표준화된 교육과정도 없는 실정이다. 운영되고 있는 각 프로그램도 기관 고유의 특성을 띠고 있다고 하기보다는 특징 없이 뷔페 혹은 카페테리아 스타일로 나열되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예컨대, 사회복지관과 노인종합복지관 소속의 노인대학에서는 건강증진, 취미․여가, 교양 프로그램을, 노인학교에서는 교양문화, 일반생활, 건강관리, 기타 생활분야 등의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고, 경로당에서는 별다른 프로그램 없이 주로 소일거리 위주로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여러 프로그램은 그 명칭은 다를지라도 노인복지교육, 건강교육, 기초교양교육, 취미교육, 가족생활교육, 시민생활교육, 자원봉사교육, 기술전문교육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프로그램의 제한된 공급으로 인해, 노인들이 프로그램을 선택할 때 그 폭이 그리 넓을 수 없다. 이러한 현상은 서울시내 뿐 아니라 전국의 모든 노인 교육기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 제공되는 여가교육 프로그램의 성격에 대한 고찰이 부족하다. 이는 첫 번째와 연관되는 것으로 노인들은 흥미․오락 위주의 한정된 여가교육 프로그램에 노출되고 있다. 그 결과, 노인들이 여가교육을 통해 여가 의식 혹은 태도를 기르는 기회를 빼앗기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노인과 노인의 여가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확대할 위험이 높다. 이런 이유로 여가 프로그램의 성격이 중요한데, 그렇다고 노인들의 학습능력을 간과할 수도 없다. 이는 모든 노인들이 인지적 쇠퇴를 피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예방 대책이 없기 때문이다. 성공적인 맥아더 연구에 의하면, 교육을 더 많이 받고 신체적으로 활동적이고, 폐기능이 좋고, 자아존중감이 높은 사람이 정신 능력을 더 잘 유지할 수 있다고 한다. 이에 여건이 허락하는 한 노인들이 여가교육에 참여하면서 주체적 자각을 이루고, 세대공동체 교육의 답지자로서 능동적으로 활동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제공될 필요가 있다.
셋째, 여가교육 기관에 대한 재정적 지원이 부족하다. 현재 중앙정부 수준에서는 교육부와 보건복지부에서 해당 기관에 대해 재원 지원을 하고 있고, 지자체별로도 지원하고 있다. 이는 평생교육법상의 노인교육 지원규정에 의거하여 체제정비가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일예로, 교육부는 노인교육 시설 종사자 연수와 노인교육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하여 2000년과 2001년에 1억 6000만원을 지원하였고, 2002년과 2003년에는 공모된 프로그램을 선별하여 프로그램별로 4백만 원에서 1천만 원 씩을 지급하였다(이희수 외, 2002, 2003). 또한 서울의 경우, 구청 같은 단위 지자체가 자신들이 위탁한 복지관 소속의 노인대학 등에 운영비를 제공하지만, 이는 전체 운영비로 지급되는 것이지 순수하게 프로그램 운영을 위하여 지급되는 액수는 미미하다. 한정된 예산으로는 여가 프로그램을 꾸준히 개선하고 개설은 고사하고, 여가 프로그램의 강사비도 충당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각 노인 여가교육 기관의 강사는 자원봉사자 위주로 운영될 수밖에 없다. 문제는 우리나라 자원봉사자들의 봉사의식이 그다지 높지 않다는데 있다. 특히 노인교육 기관의 자원봉사자들 중 많은 사람들이 개인적 이유로 담당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중도에 그만두어 프로그램 의 연속성이 담보되지 않는 것은 중대한 문제라 할 수 있다. 어떤 이들은 노인 여가교육도 여타 성인교육처럼 수익자 부담원칙이 적용되어야 한다고 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사회통합과 사회정의의 실현이라는 측면에서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2. 자원봉사활동
우리나라의 자원봉사운동은 시민단체 사회복지기관에 국한되어 오다가 1994년 중앙일보 캠페인, 1995년 ‘5・31교육개혁’에 따른 중고생 자원봉사, 상급학교 반영 등을 계기로 대학, 기업, 정부 등 사회전반에 빠른 속도로 확산되었다. 자원봉사운동은 각계각층에 인식을 높이는 데 많은 성과를 올리고 있지만 아직도 시민들의 지속적인 참여도를 끌어 올리는 데는 부족한 점이 많다.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은 노후 생활의 만족도를 높여주고, 긍정적인 자아상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판명되면서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자원봉사활동은 불우한 이웃을 돕는 이타적 행동으로, 봉사활동 과정을 통해 봉사자 자신은 사회에 대한 안목을 넓히고, 경험을 축적함으로써 보다 성숙한 자아를 실현하게 된다. 특히 노인자원봉사활동을 통해 자신이 아직도 사회에 유용한 존재라는 인식을 갖게 해 주고, 지역사회와의 교류를 통해 그들의 사회참여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일반인의 자원봉사활동에 비해 유익한 점이 많은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노인 자원봉사활동을 통하여 봉사정신도 배우고 실천함으로써 받는 정신적인 보상, 또한 혼자 있지 않고 여러 사람과 같이 있음으로 해서 고독감이 줄어든다.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을 주관하는 단체와 시설로는 대한노인회, 한국노년자원봉사회, 대한적십자사, 한국노인복지회, 노인복지회관 등이 있다. 이러한 단체와 시설들은 노인의 자원봉사와 관련된 전국적인 조직이나 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못하여 각자 독자적으로 자원봉사 활동을 전개하고 있기 때문에 노인의 자원봉사와 관련된 체계적인 홍보, 교육・훈련, 배치, 조정, 지속적인 관리, 현황파악 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노인의 축적된 경험과 능력을 발휘하여 자원봉사를 할 수 있는 분야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노인 자원봉사활동 영역은 자원봉사활동의 거의 전 영역에 걸쳐서 이루어지고 있다. 자원봉사활동의 영역은 활동의 장을 기준으로 한 분류와 활동의 대상에 따른 분류로 대별할 수 있다.
자원봉사에 대한 우리의 관심은 현실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인간, 사회 환경간의 가치 창조적 상호관계, 공동의 복지를 위해 계획적인 변화노력을 하는 것에 두어야 한다. 자원봉사활동은 단순히 자선적 의미의 활동만이 아니고, 인간상호간의 가치적 삶을 창조하기 위해 인간과 환경 및 제도를 가치 있게 변화시키고자 노력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우리나라 자원봉사활동의 영역은 외국과 마찬가지로 사회복지시설․기관을 대상으로 한 활동이 주축을 이루고 있다(전체의 66.6%). 그러나 앞으로는 사회복지기관이나 시설뿐만 아니라 교육기관, 의료기관, 기업체, 그리고 가정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지역사회발전 및 자연환경보호, 우리의 전통문화전승 등과 같은 보다 넓은 영역으로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김영호(1997)는 노인에 의한 자원봉사활동을 크게 ①개인과 가정을 중심으로 한 프로그램, ②사회복지기관․시설을 중심으로 한 프로그램, ③지역사회를 위한 프로그램으로 나누고 있다. 개인과 가정을 중심으로 한 프로그램은 다시 가사보조기능, 대인서비스기능, 재활서비스기능, 관리보조기능, 사회적 보호기능, 가정복지 및 공동체형성 기능, 재가노인프로그램, 아동 및 청소년 프로그램 등으로 나누고 있다.
사회복지기관․시설을 중심으로 한 프로그램은 시설입소자를 대상으로 한 활동, 시설프로그램의 개발과 지도 및 보조를 위한 활동, 시설발전을 돕기 위한 활동, 기관․시설의 지역사회를 향한 활동 및 환경개선․사회제도 개발을 위한 활동 등으로 나누고 있다.
지역사회를 위한 프로그램은 근린공원의 환경정화, 각종 캠페인, 교육, 체육, 문화․예술․홍보, 복지공동체 재생, 보건 및 의료, 범죄예방, 법률상담, 교통, 소방 및 긴급구호, 정치, 소비자보호 등으로 나누고 있다.
따라서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을 통한 사회참여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노인의 자원봉사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고 인식을 변화시켜 적극적으로 참여를 장려하며,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내용과 프로그램을 다양화하고 노인의 특성에 적합하도록 개발하며(이가옥:1999),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노인자원봉사 전담기구를 설립하여 운영하고, 노인자원봉사자를 독려하고 보호・보상하는 제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제 3 절 노인종합복지관
1. 노인복지관의 개념과 역할
노인종합복지관의 개념에 대하여 송희주(2003)는 지역주민들이 자신의 집에 거주하면서 그들의 복지욕구에 따라 무료 또는 실비로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이며, 복지관 서비스 내용이 교양이나 오락 프로그램 등 여가활동 뿐만 아니라 상담, 건강증진, 급식 등 재가노인복지서비스를 강조하는 것이라 정의하였다. 노인을 위한 사회적 지원체계 중 공적지원체계에 속하는 노인종합복지관은 노인복지사업 전체에서 볼 때 개념이나 사업의 내용이 아직까지 체계화되지 않은 채 현행 노인복지법에 명시된 노인여가복지시설 중 하나인 ‘노인복지회관’의 맥락에서 사업이 운영되고 있다. 이렇게 노인종합복지관은 법적으로 노인복지법에 노인여가복지시설의 하나로 규정되어 있으며, 노인복지법시행규칙은 해당시설 관할 지방자치단체의 운영조례와 규칙으로 정하고 있다. 또한 각 노인종합복지관에서는 운영규정을 통하여 전반적인 노인종합복지관 운영과 관련된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노인종합복지관 운영규정은 전국적으로 제시된 것이 없이, 해당관할 지역의 규칙과 조례에 근거하고 있으므로 지역별로 제공되는 서비스, 시설규모, 인력의 구성 등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노인종합복지관은 1981년 노인복지법이 제정될 때, 일본의 노인복지센터와 미국의 다목적노인센터(Multipurpose Senior Center)와 유사한 시설인 노인복지관을 노인복지시설로써 규정하였으나 초기에는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보다는 노인대학이나 경로당, 노인회 사무실로 사용하는 정도였다. 그러나 노인복지의 개념이 과거의 저소득층의 병약한 노인들을 위한 서비스에서 건강하고 경제력 있는 노인들을 포함한 전체 노인들에게 지역에 거주하면서 노후를 풍요롭게 보낼 수 있도록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체계 변화와 시설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지역중심으로 종합적인 노인복지센터로서의 기능을 가진 노인종합복지관이 자리 잡은 것이다. 이러한 노인종합복지관은 지역사회 내 일정한 시설과 전문 인력 그리고 자원봉사자를 갖추고 지역노인들의 복지욕구에 대응하여 종합적인 노인복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지역사회의 노인문제를 해결하고 예방하는 센터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노인복지법에 의거 경로당・노인휴양소와 함께 노인여가복지시설로 규정되어 있는 노인종합복지관은 ‘무료 또는 저렴한 비용으로 노인에 대하여 각종 상담에 응하고 건강의 증진・교육・오락・기타 노인의 복지증진에 필요한 편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노인종합복지관은 노인의 복지증진을 위하여 건강・교육・복지적 기능을 수행하는 종합적인 노인복지센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노인종합복지관은 지역사회 노인에게 직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노인에 관련된 다양한 복지서비스의 중점역할을 하고 있다.
한편, 노인복지법 시행규칙에 의하면 기본사업은 상담・지도, 취업상담 및 알선, 기능회복훈련, 교양강좌 등의 실시를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일상생활수행능력이 부족한 노인의 생활 편의를 위한 사회복지서비스제공은 재가노인복지시설을 병설하여 운영하도록 할 것과 지역특성에 따라 야간 이용이 가능한 체제를 갖추도록 노력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노인종합복지관은 시설구분과 정의가 일치하지 못하여 노인종합복지관의 기능과 역할에 혼란을 주는 측면이 있다. 따라서 노인종합복지관의 본래 목적과 취지를 재고하여 그에 적합한 사업을 규정하여야 하며, 그 과정에서 규모와 인력・지역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수행되어야 할 사업이 제시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동시에 향후 노인복지관련 시설이 세분화, 전문화 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노인복지관련 시설이 출현할 것이며, 이에 대한 노인종합복지관의 위상 및 역할의 재정립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노인종합복지관을 통한 서비스 전달의 확대를 통해 노인복지서비스의 확대도 필요하며, 노인종합복지관의 역할, 조직 등에 대한 표준적인 틀을 모색하여야 한다.
2. 노인종합복지관의 프로그램
노인종합복지회관에서 제공되고 있는 노인복지프로그램은 소득보장, 주거보장, 의료보장, 사회복지서비스 보장으로 구분되며, 노인을 위한 프로그램 중 자기발전욕구 충족서비스가 사회교육에 속한다. 노인들은 노인학교와 한글 및 산수교실에 참여하고, 개인취미활동, 체조 및 운동, 관광 및 야유회, 경로잔치 등을 통해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켜나가고 있다
노인의 입장에서 제공되기를 원하는 프로그램은 경로잔치를 가장 필요로하고 있으며, 다음이 관광 및 야유회, 무료진료, 단체급식, 이용/미용 서비스, 물리치료, 목욕서비스, 서비스안내 및 의뢰, 노인부업실, 개별상담, 개인취미활동지도, 노인학교, 한글 및 산수 교실 등으로 되어 있다(최성재, 1996). 이를 보면, 노인들은 우선적으로 잔치와 야유회를 그리고 진료 등을 통해 신체적 욕구가 만족된 후 자기 발전적 욕구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노인종합복지관에서는 사회교육프로그램으로서 정규과정과 특별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정규과정으로는 건강을 주제로 한 프로그램이 주를 이루고 있다. 즉, 장수교실 비타민 교실, 건강측정, 단전호흡, 건강특강, 에어로빅 등이 그에 속하고 있다. 다음은 교양 및 취미강좌로 현대무용, 우리춤 한마당, 사물놀이 장구춤, 전통리듬체조, 한국무용, 포크댄스 등으로 구성되고 있다. 특별 과정으로는 취미를 위주로 한 프로그램이 주를 이루고 있다. 즉, 게이트볼, 서예교실, 합창반, 연극반 등으로 구성되어 노인들의 흥미와 취미를 위주로 한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져 있다 노인종합복지회관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1) 상담사업
사업의 목적은 노인과 노인 가족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욕구 및 문제점을 상담하고, 적절한 서비스와 노인복지 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정신적, 신체적으로 건강하고 활기찬 노후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함에 있다. 세부사업 내용은 이용 상담, 생활고충 상담, 건강 상담, 가정상담 등이 있다.
2) 기능회복사업
사업의 목적은 노인성 질환 및 신체노화 현상으로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노인들의 통증예방 및 질환의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건강증진 서비스를 실시하여, 신체적으로 활기차고 건강하고 안전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돕는다. 세부사업내용으로는 상담, 보건, 의료서비스, 물리치료, 한방서비스, 체력단련, 순회방문진료, 간호사정 등이 있다.
3) 주간보호사업
사업의 목적은 심신이 허약하고 신체기능상의 장애로 인해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곤란하거나 부득이한 사정으로 가정 내에서 보호가 어려운 노인들을 대상으로 낮 시간 동안 돌보는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생활의 안정과 심신의 건강유지 및 향상을 도모하여, 노인가족의 보호 부담을 경감시킨다. 세부사업내용은 낮 시간 노인보호 및 일상편의제공, 보행 및 일상동작훈련, 물리치료, 산책, 오락 등 집단 활동, 가족모임 등이 있다.
4) 가정봉사원 파견사업
사업의 목적은 신체적, 정신적, 경제적으로 불안정하여 일상생활을 영위해 나가기 어려운 무의탁 생활보호대상노인 및 저소득층 노인에게 전문교육을 이수한 가정봉사원을 파견하여 노인의 일상생활 유지에 필요한 다양한 재가서비스를 제공토록 하여, 노인이 지역사회 내에서 건강하고 안정된 노후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세부사업내용은 가정봉사원파견사업(우애방문, 가사원조), 안부전화, 밑반찬배달서비스, 후원금품 지급, 차량지원 등이 있다.
5) 사회교육 프로그램(노인교실)
사업의 목적은 취미, 여가, 특별활동 등 다양한 사회교육프로그램을 개설하고 개인의 적성과 소질에 맞는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노인의 삶의 질의 향상과 자기개발을 도모하고, 건전한 여가문화 정책을 통해 건강하고 활기찬 노후생활을 지원한다. 세부사업내용은 ① 교양사업으로 교양강좌, 한글교실, 서예교실, 한문교실, 일어교실, 특별강좌 등 ② 건강증진사업은 건강강좌, 건강 체조, 에어로빅, 단전호흡, 요가, 탁구교실 등 ③ 취미, 여가문화 사업은 가요교실, 노래방, 민요교실, 한국무용, 포크댄스, 레크리에이션, 영화관람, 칼라믹스, 종이접기교실, 바둑, 장기교실, 민속놀이, 시조교실 등 ④ 특별활동클럽은 단비합창단, 장구반, 한국무용반, 그린실버밴드 등 ⑤ 특별행사는 종합예술제, 운영간담회, 생일잔치행사, 장기바둑대회, 노인송년잔치, 탁구대회, 체육대회, 노인가요열창, 강사 간담회 및 평가회 등이 있다.
6) 복리후생사업
사업의 목적은 지역사회 노인들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후생복지 서비스를 제공하여 복지관 이용의 편의를 도모하고, 경제적, 신체적, 정신적으로 안정된 노후생활을 보낼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목적이 있다. 세부사업의 내용은 경로식당 운영, 이·미용실 운영, 순회차량서비스, 밑반찬배달서비스, 세탁서비스 등이 있다.
7) 지역복지협동사업
사업의 목적은 기초생활수급 노인 및 저소득 영세노인에게 다양한 후원자를 연결하여 지역사회에서 안정된 생활을 유지하도록 지원을 하며, 복지관 각 분야에 지역주민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여, 지역사회 내 노인복지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촉진하고, 노인복지사업의 활성화를 도모한다. 세부사업내용은 사회봉사활동 지도 및 무의탁 생활보호대상자 노인을 대상으로 후원결연사업 등이 있다.
8) 고령자 취업알선센터
사업의 목적은 고령화 추세와 조기정년 퇴직으로 일자리를 잃은 노인들의 취업욕구에 부응하고, 노인의 유휴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분야에 적절히 취업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노인의 여가선용 및 소득보장의 기회를 부여하고, 정신적, 경제적으로 원활한 노후생활을 영위하도록 돕는다. 세부사업내용은 구인자, 구직자 상담 및 알선, 취업 후 사후관리, 공동작업장 운영 등이 있다.
9) 노인의 집
노인의 집이란 저소득 기초생활수급권대상 노인의 사회적 자립지원을 목적으로 지역사회 일반 거주지역에서 공동으로 거주하며, 생활하도록 하고, 이들에게 종합적인 재가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소규모 공동주택을 말한다. 세부사업내용은 입주자 상담, 순회진료 서비스, 물리치료서비스, 이미용서비스 등이 있다.
제 4 절 노인종합복지관프로그램 참여와 노인의 생활만족도
노인종합복지관과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는 타 연구 분야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우선 노인종합복지관의 역사가 길지 않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연구가 부족한 편이고,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대해서는 노인종합복지관과 관계없이 연구가 이루어진 경우가 많다.
연구자가 조사한 바에 의하면, 1999년에 차성환을 시작으로 노인복지관과 노인의 생활만족도 또는 삶의 질과 관련된 연구가 이루어지기 시작한 것으로 파악된다. 본 연구는 국내의 노인종합복지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이 절에서는 국내의 노인복지관과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관계된 연구 결과만 요약하도록 하겠다.
차성환(1999)은 노인종합복지관을 사회적지지 자원으로서 파악하여 이를 이용하는 노인과 이용하지 않는 노인을 비교 연구하였다. 그 결과 노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이 이용하지 않는 노인에 비해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한 결과, 복지관의 이용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에 연령, 배우자 유무, 친척관계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두열(2000)은 노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조사한 결과, 성별, 연령, 학력, 용돈수준, 생활수준, 건강, 프로그램 참여율, 교우만족 등이 있었으며, 각 변수들 중에서도 특히 생활수준과 건강 그리고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다른 변수에 비해 생활만족도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런 결과는 노인들의 여가활동이 노인들에게는 중요하고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김미라(2002) 역시 서울시내 소재 9개 노인복지관 및 2개 종합사회복지관을 이용하는 60세 이상 노인 252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자아존중감, 사회교육 참여여부, 사회단체 참여여부, 성생활의 필요성, 생활수준 등이 생활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숙경(2002)은 여가복지시설 중 노인복지관과 경로당의 이용이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해당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노인복지관 이용노인의 삶의 질은 평균 29.27점(73.1%), 경로당 이용노인의 삶의 질은 평균 25.67점(64.1%)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산출하지는 못했다. 대신 참여 프로그램의 수, 노인복지관의 주 평균 이용시간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노인복지관과 노인의 삶의 질과의 관계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이승범(2003)의 연구는 신체적 삶의 질과 관련하여 노화호르몬, 심폐지구력, 근지구력, 유연성, 평형성 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프로그램이 무엇이고, 정서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에서의 삶의 질에 영향을 끼치는 프로그램이 무엇인지를 밝혀내는데 주력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운동이 노인의 삶에 중요하다는 것과 노인종합복지관에서 실시되고 있는 운동 프로그램은 어느 정도 영향력이 있는가를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운동프로그램 그룹과 비 운동 그룹간의 삶의 질에서 신체적 측면은 댄스스포츠, 단전호흡 그룹이 비 운동 그룹보다 높게 나타났으며(p<.001), 정서적 측면은 단전호흡 그룹이 비운동 그룹보다 높았고(p<.05), 사회적 측면은 댄스 스포츠 그룹이 비 운동 그룹보다 높게 나타났다(p<.05).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노화호르몬은 운동 강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고, 중강도 이상의 규칙적인 운동은 노인의 신체적 능력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켜 노화와 더불어 감소하는 호르몬이나 체력수준을 최대한 방지하는데 도움을 주며, 향상된 신체적 능력은 일상생활능력에 도움을 주어 노인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리라 예상된다.
송정희(2004)는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의 여가활동 프로그램과 여가활동이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전주, 군산 지역 노인 20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송정희는 노인복지관에서 실시하는 여가활동 프로그램을 생활만족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신체적, 지적, 정의적, 사회적 영역의 4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 정의적 영역의 생활만족도, 신체적 영역 생활만족도, 지적 영역 생활만족도의 순으로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영역의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사회적 영역의 만족도에서 ‘재취업을 희망 한다’, ‘사회봉사활동을 희망 한다’의 항목이 50% 내외의 낮은 만족도를 보여 사회적 참여나 관심이 부족함을 보이고 있다.
위 연구들을 통해 볼 때, 대부분 노인종합복지관의 프로그램 이용이 노인의 생활만족도 또는 삶의 질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연구 과정에서 복지관의 유무에 한정시키거나 일부 프로그램 이용유무에 머무는 등의 한계가 지적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종합복지관 프로그램 중에서 여가활동 뿐 아니라 타 연구에서 소홀히 다루었던 자원봉사활동 그리고 경제활동을 다루었다. 그러나 인구통계학적인 변인보다는 심리․사회적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변인까지 알아봄으로써 종합적이고 포괄적으로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다루려고 하였으나 역량 부족으로 다루지 못하였다.
제 Ⅲ 장 연구의 방법
제 1 절. 조사목적 및 조사대상의 선정
1) 조사목적
본 연구에서는 노인종합복지관 사회활동 프로그램과 노인의 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서울시에 소재하는 2개소의 노인종합복지관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실시하는 조사의 목적은 기존 문헌자료를 참고하여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서 자원봉사활동, 여가활동 그리고 경제활동, 사회활동을 지원하는 노인종합복지관의 프로그램이 실제로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관계가 있는지와 영향요인으로 작용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노인종합복지관 프로그램의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개발하고, 노인의 생활만족도 선행연구에서 신뢰성과 타당성을 인정받은 척도를 사용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조사를 통해서 현재 노인종합복지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사회활동 프로그램들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혀냄으로써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보다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기존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한 노력을 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2) 조사대상의 선정
본 연구의 대상은 노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 60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한다, 그러나 전국에 있는 162개 노인종합복지관을 대상으로 전부조사하기에는 표본이 너무 많은 관계로 서울의 27개 복지관 중에서 2곳을 무작위 선정하였다. 또한 노인종합복지관에서 사회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노인 중 각 복지관별로 65명씩 무작위 추출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접과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따라서 총 130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 중 응답수준이 낮은 설문지를 제외하고는 119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제 2 절. 설문지 구성 및 조사도구
1) 설문지 구성방법
구 분 |
내 용 |
인구통계학적변인 |
성별, 연령, 교육수준, 건강상태 |
일반생활변인 |
가족형태, 배우자 유무, 주거형태, 종교종류, 종교활동기간 및 빈도, 재산정도, 한달소득, 한달 용돈, 소득과 용돈에 대한 만족 정도 |
복지관프로그램 이용상태 |
프로그램 이용 여부, 참여 프로그램종류, 이용기간, 이용빈도, 참여동기, 프로그램 수강료,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참여 방해요인 |
2) 측정도구
(1)생활 만족도
본 연구에서 노인 생활만족도는 신체적 영역, 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사회적 영역의 4개 영역으로 나누어 4문항씩 척도를 설정하였다. 노인 생활만족도 척도 설정을 위해 유인교(2002)와 박기권(2004)의 노인생활만족도를 참조한 후 4개 영역별로16문항의 척도를 새로 개발한 송정희(2004)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송정희(2004)의 척도는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신뢰도 계수(cronbach α)가 .949로 나타나 매우 높게 나타나 본 연구에 적용하는데 무리가 없다고 판단하여 실시하고자 한다.
구분 |
문항수 | |
생활 만족도 |
신체적 영역 |
4 |
지적 영역 |
4 | |
정의적 영역 |
4 | |
사회적 영역 |
4 |
(2) 사회적 지지
사회적 지지는 박지원(1985)과 김효심(1994)이 사용한 척도를 기초로 구성하여 측정하였다. 사회적 지지는 도구적 지지(4문항), 정보적 지지(2문항), 정서적 지지(3문항) 정도를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해 질문하였다.
구 분 |
내 용 |
문항수 | |
사회적 지지 |
도구적 지지 |
일을 대신 봐 주는지, 식사나 집안 일을 도와주는지, 아플 때 간호를 해 주거나 병원에 같이 가 주는지,생활비나 용돈을 주거나 빌려주는 지 등 |
4 |
정보적 지지 |
모르는 것을 잘 가르쳐 주는지 |
2 | |
정서적 지지 |
노인에 대해 걱정하며 관심을 가져주는지, 믿고 의지할 만한 사람인지 등 |
3 |
제 3 절.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자료 분석방법은 SPSS for Win 12.0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 하였다. 본 연구는 노인종합복지관 사회활동 프로그램들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밝히려는 목적을 갖는다. 이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분석방법을 사용하고자 한다.
1)먼저 조사대상의 인구통계학적인 특성, 일반 생활관련 특성, 복지관 프로그램 이용 상태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2)노인종합복지관 프로그램 중 자원봉사활동과 여가활동과 같은 사회활동 지원 프로그램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3)또한 각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방법에 따라 생활만족도에 있어서 어떤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두 집단 간 평균의 차이를 분석하는 T-test와 세 집단 간 평균 차이를 분석하는 분산분석(ANOVA)를 실시하였다..
제 Ⅳ장 각 영역별 프로그램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제 1 절 노인의 일반사항 및 생활상태
본 연구의 응답자들은 70대가 62명(52.1)% 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60대가 49명(41.2%)으로 많은 수를 보이고 있다. 80대의 경우는 7명으로 5.9%를 차지하는 수준임을 알 수 있다. 즉 노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은 주로 60~70대 인 것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빈도(명) |
비율(%) | |
60~69세 70~79세 80세 이상 무응답 |
49 62 7 1 |
41.2 52.1 5.9 0.8 |
합 계 |
119 |
100.0> |
본 연구에서 남자노인이 차지하는 비율은 51명(42.9%), 여자 노인이 차지하는 비율은 67명(56.3%)으로 나타났다.
빈도(명) |
비율(%) | |
남자 여자 무응답 |
51 67 1 |
42.9 56.3 0.8 |
합 계 |
119 |
100.0 |
선행연구에서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교육수준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었다. 즉,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제4장에서는 교육수준에 따라 노인의 생활만족도 평균점수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분석을 시도 하였다. 이 장에서는 응답자의 교육수준이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개괄적 요약을 하였다. 그 결과 고등학교를 중간에 그만둔 경우가 42명(35.3%)으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는 대학교를 중퇴하였거나 졸업한 경우로서 25명(21.0%)이 여기에 해당된다.
반면 학교를 다닌 적 없다는 응답은 3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통해 볼 때 노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의 학력수준이 역사적으로 힘든 시기였음에도 초등학교 이상의 학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 보편적임을 알 수가 있다.
<표-3> 응답자의 교육수준
빈도(명) |
비율(%) | |
다닌적 없다(글자모름) 다닌적 없다(글자해득) 초퇴/졸 중퇴/졸 고퇴/졸 대퇴/졸 이상 무응답 |
2 1 22 24 42 25 3 |
1.7 0.8 18.5 20.2 35.3 21.0 2.5 |
합 계 |
119 |
100.0 |
건강상태에 대한 질문에 대해 노인들을 59명(49.6%)이 건강하다고 응답하였다. 이 같은 결과는 65세 이상 노인의 90% 이상이 각종 노인성 질환을 앓고 있다는 결과와 상반되는 현상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나 응답 노인들은 노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할 수 있는 정도의 건강상태를 가지고 있는 경우이므로 와상노인이나 요양원 또는 병원 등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노인들의 건강상태와는 단순 비교하기가 적절치 않을 것이다. 특히 본 조사내용은 객관적인 질환 데이터를 보고 취합된 것이 아니라 노인 개인이 인지하는 건강상태라는 점에서 다소 정확성이 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의 주제는 객관적인 질환의 종류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차이를 보는 것이 아니라 노인 스스로 생각하는 건강상태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노인들의 건강상태에 대한 의견을 미리 파악한 것이다.
<표-4> 응답자의 건강상태
빈도(명) |
비율(%) | |
매우 건강함 건강한 편 보통 건강하지 못함 매우건강하지 못함 무응답 |
15 44 35 13 5 7 |
12.6 37.0 29.4 10.9 4.2 5.8 |
합 계 |
119 |
100.0 |
노인의 삶의 질 또는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서 배우자 유무가 매우 중요한 변인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응답 노인 중 77명(64.7%)은 현재 배우자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생활만족도가 높을 개연성을 보이고 있다. 반면 사별을 한 경우는 31명(26.1%)이고 이혼이거나 별거를 한 경우도 각 각 2명(1.7%), 3명(2.5%)인 것으로 나타났다.
빈 도(명) |
비율(%) | |
기혼 이혼 별거 미혼 사별 무응답 |
77 2 3 1 31 5 |
64.7 1.7 2.5 0.8 26.1 4.2 |
합 계 |
119 |
100.0 |
배우자 유무와 마찬가지로 가족 유형 역시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 중 하나이다. <표-5>와 <표-6>에서 응답자가 배우자와 함께 살고 있다는 응답에서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배우자가 존재하지만 어떤 사정으로 떨어져서 살수가 있고, 함께 살지 않는 것에 대해 회피를 위한 응답을 했을 수도 있다. 다소 차이가 발생할 수는 있으나 배우자 또는 다른 가족들과 함께 살아가고 있다는 것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어떤 관련이 있을지에 대해서는 제4장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빈 도(명) |
비율(%) | |
본인혼자 배우자 미혼자녀 기혼아들 기혼딸 기타 |
25 69 5 17 2 1 |
21.0 58.0 4.2 14.3 1.7 .8 |
합 계 |
119 |
100.0 |
노인의 종교생활이 삶의 질 또는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선행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나 어떤 종교를 갖고 있느냐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서는 연구된 것이 없다. 응답 결과를 살펴보면, 기독교 43명(36.1%)으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는 불교가 29명(24.4%), 무교는 23명(19.3%), 천주교가 17명(14.3%)으로 뒤를 잇고 있다.
빈 도(명) |
비율(%) | |
기독교 천주교 불교 유교 없음 기타 무응답 |
43 17 29 3 23 1 3 |
36.1 14.3 24.4 2.5 19.3 0.8 2.5 |
합 계 |
119 |
100.0 |
국가로부터 경제적 원조를 받는다는 것은 ‘기초생활수급권자’라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 대해 응답 노인들 대부분(110, 92.4%)은 국가 원조를 받는 대상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즉, 응답노인 대부분은 중산층 또는 서민층인 것으로 추측된다.
<표-8> 경제적 원조대상 여부
빈 도(명) |
비 율(%) | |
원조 받는다 원조 받지 않는다 무응답 |
3 110 6 |
2.5 92.4 5.0 |
합계 |
119 |
100.0 |
응답 노인들의 한 달 용돈으로 가장 많이 응답한 것은 11˜30만원으로 55명(46.2%)이 해당되며, 그 다음으로는 10만 원 이하라고 응답한 경우가 32명(26.9%)으로 나타나 보편적으로 노인들의 한 달 용돈이 많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어느 72살의 대졸출신 노인은 월 2만 원 정도의 용돈으로 생활을 한다며 비참한 삶의 단면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2008년부터는 기초노령연금 등으로 노인들의 생활비에 대한 지원이 어느 정도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나 노인들의 경제적인 소득보장에 대한 프로그램이 더욱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빈도(명) |
비율(%) | |
10만원 이하 11~30만원 31~50만원 51~100만원 101만원 이상 |
32 55 22 9 1 |
26.9 46.2 18.5 7.6 0.8 |
합 계 |
119 |
100.0 |
응답 노인의 한 달 용돈 충당 방법 중 가장 많이 차지하는 것이 자녀로부터 받는 용돈인 것으로 나타났다(43명, 36.1%). 그 다음으로는 집세(24명, 20.2%), 연금(21명, 17.6%)의 순으로 파악되었다. 특기할 만한 것은 일을 통해서 수입을 충당하는 경우는 단 6명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이처럼 노인들에게 수입이 생길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하지 않고 스스로 노력해서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매우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빈 도(명) |
비율(%) | |
일을 통해서 집세 연금 자녀로부터 기타 무응답 |
6 24 21 43 24 1 |
5.0 20.2 17.6 36.1 20.2 0.8 |
합 계 |
119 |
100.0 |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삶의 질과 관련되는 변인으로서 성별, 연령, 교육, 직업, 수입, 결혼상태, 종교, 사회참여, 건강 등 이었다(노유자, 1988;Medly, 1980; 하재구, 1986; George & Bearon, 1980; Freudiger, 1980, Berry & Weaver, 1981;Glenn, 1987).
김정석(2003)의 연구에 의하면, 배우자 유무와 자녀동거여부가 남녀 노인의 경제적 자원과 맺는 관계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서, 여성노인이 남성노인보다 배우자나 자녀에 대한 의존성이 높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노인들의 성별에 따라 이들의 개인적 혹은 가족 및 가구적 특성이 노인들의 경제적 자원상황과 다른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따라서 노인의 현황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정책적 대안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성별에 따라 개별적으로 작용하는 기제 혹은 주요변인들의 함의에 대한 연구가 우선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일반적인 사항들에 따라 생활만족도의 평균이 차이가 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다. 우선, 성별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평균차이분석)를 실시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분석결과, 선행연구에서와는 달리 성별에 따라 생활만족도는 통계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평균 점수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그 차이 수준이 통계적인 유의성에는 별다른 영향이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성별에 따라 생활만족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결론을 내릴 수 있겠다.
성 별 |
빈 도 |
평 균 |
F |
P | |
신체적 만족도 |
남 자 |
50 |
8.38 |
.477 |
.991 |
여 자 |
67 |
8.39 | |||
지적 만족도 |
남 자 |
48 |
8.48 |
.619 |
.723 |
여 자 |
58 |
8.22 | |||
정의적 만족도 |
남 자 |
50 |
8.30 |
.099 |
.998 |
여 자 |
67 |
8.30 | |||
사회적 만족도 |
남 자 |
50 |
8.12 |
.877 |
.759 |
여 자 |
66 |
8.33 |
*P<.05, **P<.01
배숙경(2002)의 연구에서는 노인복지관 이용노인의 교육정도별로 삶의 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배숙경(2002)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사회 경제적 지위가 높고, 여유 있는 생활을 즐기게 되므로 생활만족도가 높아진다고 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고학력자일수록 더 높은 임금과 더 좋은 근무조건을 획득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학력과 경제활동참가 사이에 강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Pencavel, 1986).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교육수준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동 상층부문에서의 취업기회가 제한될 때에는, 고학력자 노인의 경우, 하층노동에서 기대되는 임금가치보다 여가생활이나 주관적 자존감 등에 대한 기회비용을 더 높게 평가하기 때문에 취업을 포기하고 노동시장을 떠날 수 있다는 주장과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교육수준이 높다고 하여 생활만족도가 높을 것이라는 안이한 태도로 노인을 바라보지 말고 교육수준에 비해 할 수 있는 일이 많지 않다는 것에서 오는 무력감 내지 자기 효능감의 감소 현상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교육수준 |
빈 도 |
평균 |
F |
P | |
신체적 만족도 |
다닌적없다(글자모름) |
2 |
9.00 |
1.28 |
.288 |
다닌적없다(글자해독) |
1 |
5.00 | |||
초퇴/졸 |
22 |
7.45 | |||
중퇴/졸 |
24 |
9.46 | |||
고퇴/졸 |
41 |
8.76 | |||
대퇴/졸 이상 |
25 |
7.48 | |||
합계 |
115 |
8.35 | |||
지 적 만족도 |
다닌적없다(글자모름) |
2 |
10.00 |
1.57 |
.176 |
다닌적없다(글자해독) |
1 |
5.00 | |||
초퇴/졸 |
22 |
7.14 | |||
중퇴/졸 |
24 |
9.38 | |||
고퇴/졸 |
42 |
9.02 | |||
대퇴/졸 이상 |
43 |
7.70 | |||
합계 |
114 |
8.45 | |||
정의적 만족도 |
다닌적없다(글자모름) |
2 |
10.00 |
.162 |
.160 |
다닌적없다(글자해독) |
1 |
5.00 | |||
초퇴/졸 |
22 |
7.00 | |||
중퇴/졸 |
24 |
9.54 | |||
고퇴/졸 |
41 |
8.66 | |||
대퇴/졸 이상 |
25 |
7.60 | |||
합계 |
115 |
8.29 | |||
사회적 만족도 |
다닌적없다(글자모름) |
2 |
9.50 |
1.279 |
.278 |
다닌적없다(글자해독) |
1 |
5.00 | |||
초퇴/졸 |
22 |
7.59 | |||
중퇴/졸 |
23 |
9.17 | |||
고퇴/졸 |
41 |
8.71 | |||
대퇴/졸 이상 |
25 |
7.08 | |||
합계 |
114 |
8.21 |
*p<.05, **p<.01
노인 만성질환자의 삶의 질에 관한 선행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노인의 건강상태의 정도에 따라 사회적 지지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노인의 건강상태가 높은 집단이 건강상태가 낮은 집단에 비하여 사회적 지지의 이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신체건강, 정신건강, 그리고 사회건강은 자아인식과 자아가치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성질환 유무는 전반적인 삶, 과거, 현재, 미래의 삶에 대한 평가에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변인임을 알 수 있다. 여성 노인환자의 삶의 질을 연구한 결과, 여성노인환자의 삶의 질에는 환자의 건강상태, 일상생활수행능력,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 인지기능, 우울증 등이 영향을 주는 요인이 되며 교육이나, 종교, 배우자를 포함한 가족의 돌봄도 삶의 질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노인의 건강상태와 삶의 질 또는 생활만족도와의 관계는 매우 밀접한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도 건강상태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ANOVA(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여기에서 건강상태는 의료진의 진찰결과를 참고하기 보다는 각 개인이 자신의 건강에 대한 태도를 보았다. 객관적인 건강상태와는 상관없이 본인이 느끼는 건강상태는 또 다른 차원에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개인이 그 결과, 건강상태에 따라 생활만족도 평균에서 통계적인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선행연구결과와 일맥상통하며, 자신이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노인들은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는 노인보다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표-13> 건강상태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평균차이
건강상태 |
빈도 |
평균 |
F |
P | |
신체적 만족도 |
매우 건강 |
22 |
13.95 |
176.303** |
.000 |
건강한 편 |
17 |
11.53 | |||
보통 |
14 |
8.57 | |||
건강하지 못함 |
44 |
5.84 | |||
전혀 건강하지 못함 |
21 |
5.05 | |||
합계 |
118 |
8.36 | |||
지 적 만족도 |
매우 건강 |
22 |
13.36 |
91.086** |
.000 |
건강한 편 |
17 |
11.72. | |||
보통 |
14 |
8.00 | |||
건강하지 못함 |
44 |
6.19 | |||
전혀 건강하지 못함 |
21 |
5.05 | |||
합계 |
117 |
8.41 | |||
정의적 만족도 |
매우건강 |
22 |
13.55 |
145.508** |
.000 |
건강한 편 |
17 |
11.88 | |||
보통 |
14 |
8.71 | |||
건강하지 못함 |
44 |
5.68 | |||
전혀 건강하지 못함 |
21 |
4.95 | |||
합계 |
118 |
8.27 | |||
사회적 만족도 |
매우 건강 |
22 |
13.64 |
153.176** |
.000 |
건강한 편 |
17 |
11.53 | |||
보통 |
13 |
8.54 | |||
건강하지 못함 |
44 |
5.52 | |||
전혀 건강하지 못함 |
21 |
5.29 | |||
합계 |
117 |
8.21 |
선행연구에서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공통적으로 지적하는 연령, 성별, 건강상태, 배우자 유무, 가족관계, 종교, 사회활동, 정서상태, 자아존중감 등의 요인들로 세분할 수 있다(김은심, 안황란, 배정자, 1999; 고승덕, 1996)고 하였다. 이 중에서 배우자 유무가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여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 노인의 결혼 상태와 생활만족도간에는 통계적으로 매우 높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혼상태인가, 이혼 또는 별거상태인가, 미혼인가, 사별인가에 따라 생활에 만족하는 정도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이 사회에 만연되어 있는 고정관념 중 의 하나는 노인들은 성에는 관심이 없다든지 성행위가 중지된다든지 하는 것이다. 이러한 편견은 노인이 성적 관심을 갖는 것은 추하다는 관념을 반영시킨다. 일반 사람들은 물론이고 전문가들도 노인의 성적 욕구 표현을 단순히 문제행동으로 치부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매우 부정적인 통념이고 노인들의 생리적 욕구 충족과 건강, 그리고 삶의 질에 커다란 장애물이 된다. 노인의 성 활동은 매우 다양한 이점을 줄 수 있는데, 성에 대한 느낌과 표현은 노인에게 또 다른 힘을 주고 정서적인 안정과 자아정체감, 삶에 대한 가치를 느끼게 할 뿐 아니라 실제로 건강 유지에도 커다란 도움이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 노인들의 이성과의 교재기회를 줄 수 있는 프로그램마련이 필요하다. 활발한 이성교제는 사랑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고 무가치한 느낌, 고립감이나 외로움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음으로써 오는 생활의 만족감은 노년의 삶의 질 향상에도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결혼상태 |
빈도 |
평균 |
F |
P | |
신체적 만족도 |
기혼 |
22 |
13.95 |
95.925** |
.000 |
이혼 |
46 |
5.85 | |||
별거 |
14 |
8.79 | |||
미혼 |
17 |
10.71 | |||
사별 |
19 |
5.53 | |||
합계 |
118 |
8.36 | |||
지 적 만족도 |
기혼 |
22 |
13.36 |
72.896** |
.000 |
이혼 |
45 |
6.00 | |||
별거 |
14 |
8.50 | |||
미혼 |
17 |
11.47 | |||
사별 |
19 |
5.58 | |||
합계 |
117 |
8.41 | |||
정의적 만족도 |
기혼 |
22 |
13.55 |
88.022** |
.000 |
이혼 |
46 |
5.67 | |||
별거 |
14 |
8.93 | |||
미혼 |
17 |
11.18 | |||
사별 |
19 |
5.37 | |||
합계 |
118 |
8.27 | |||
사회적 만족도 |
기혼 |
22 |
13.64 |
98.285** |
.000 |
이혼 |
46 |
5.48 | |||
별거 |
13 |
8.77 | |||
미혼 |
17 |
10.88 | |||
사별 |
19 |
5.79 | |||
합계 |
117 |
8.21 |
*p<.05 **p<.01
동거형태와 생활만족도간의 관계연구를 보면, 서구 사회에서는 자녀와 동거하는 노인들의 생활만족도가 낮게 나오고 있으며, 김정석 · 김익기에 의하면, 자녀로부터 지원을 받기만 하는 노부모들에 비해, 지원을 주고받는 노부모들에게서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이며, 지원을 주기만 하거나 지원을 주지도 받지도 않는 노부모들에게서는 생활만족도가 낮다고 하였다.
가족은 그 가족 구성원에게 소속감, 안정감, 만족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애정을 통한 정서적 역할까지 제공하며. 친구로부터의 지지보다는 가족의 지지가 유의한 효과를 가져 온 다고 하였다. 따라서 동거가족이 있는 가 그리고 동거가족이 누군가에 따라 생활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신체적 만족도’, ‘지적 만족도’, ‘정의적 만족도’, ‘사회적 만족도’, 모두에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산출하였다.
본 결과를 토대로 노인들의 생활만족도 증진을 위해 가족을 늘리거나 유형을 변형시킬 수는 없지만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있어서 동거가족이 어떠한가를 참고하여 심리, 정서적 상담 및 기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동거가족유형 |
빈도 |
평균 |
F |
P | |
신체적 만족도 |
본인혼자 |
25 |
5.88 |
4.269** |
.003 |
배우자 |
35 |
9.29 | |||
미혼자녀 |
34 |
9.18 | |||
기혼아들 |
20 |
8.55 | |||
기혼딸 |
4 |
7.75 | |||
합계 |
118 |
8.36 | |||
지 적 만족도 |
본인혼자 |
23 |
6.26 |
3.269** |
.014 |
배우자 |
35 |
9.23 | |||
미혼자녀 |
35 |
9.17 | |||
기혼아들 |
20 |
8.45 | |||
기혼딸 |
4 |
6.75 | |||
합계 |
117 |
8.41 | |||
정의적 만족도 |
본인혼자 |
25 |
5.64 |
5.029** |
.001 |
배우자 |
35 |
9.29 | |||
미혼자녀 |
34 |
9.21 | |||
기혼아들 |
20 |
8.45 | |||
기혼딸 |
4 |
7.00 | |||
합계 |
118 |
8.27 | |||
사회적 만족도 |
본인혼자 |
25 |
5.48 |
5.937** |
.000 |
배우자 |
35 |
9.51 | |||
이혼자녀 |
33 |
8.91 | |||
기혼아들 |
20 |
8.55 | |||
기혼딸 |
4 |
6.50 | |||
합계 |
117 |
8.21 |
*p<.05 **p<.01
코닝(Koenig, 1995)은 종교 활동을 하는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보다 육체적, 정신적으로 더 건강하다고 보고 했으며, 아들러와 카슬(Idlerl and Kasl, 1997)도 10년 동안 노인의 종교활동 참여와 건강상태를 비교분석한 연구에서 종교 활동에 많이 참여할수록 보다 공고해진 종교적 믿음과 풍부한 영적 경험들로 인해 그들 내부의 부정적 감정들을 완화하는 기능을 종교가 담당했다고 보았다. 그러나 종교유형에 따라 생활만족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선행연구는 이루어진바가 없었다. 본 연구는 종교유형에 따라 생활만족도가 차이가 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ANOVA를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 통계적인 평균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떤 종교를 갖고 있는가는 생활만족도에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종교유형 |
빈도 |
평균 |
F |
P | |
신체적 만족도 |
기독교 |
17 |
7.98 |
.695 |
.629 |
천주교 |
42 |
8.71 | |||
불교 |
29 |
8.55 | |||
유교 |
3 |
11.67 | |||
없음 |
23 |
8.26 | |||
기타 |
1 |
6.00 | |||
합계 |
115 |
8.37 | |||
지 적 만족도 |
기독교 |
42 |
8.43 |
1.018 |
.411 |
천주교 |
17 |
9.00 | |||
불교 |
29 |
8.31 | |||
유교 |
3 |
12.33 | |||
없음 |
22 |
7.73 | |||
기타 |
1 |
6.00 | |||
합계 |
114 |
8.43 | |||
정의적 만족도 |
기독교 |
42 |
8.10 |
.497 |
.778 |
천주교 |
17 |
8.94 | |||
불교 |
29 |
8.31 | |||
유교 |
3 |
10.67 | |||
없음 |
23 |
7.87 | |||
기타 |
1 |
6.00 | |||
합계 |
115 |
8.28 | |||
사회적 만족도 |
기독교 |
42 |
8.21 |
.505 |
.772 |
천주교 |
17 |
8.35 | |||
불교 |
28 |
8.21 | |||
유교 |
3 |
11.33 | |||
없음 |
23 |
7.74 | |||
기타 |
1 |
8.00 | |||
합계 |
114 |
6.22 |
*<.05 **p<.01
연령과 종교활동횟수, 용돈은 서로 관련성이 없는 변수이기는 하나 앞서 집단간 평균차이분석을 실시한 경우처럼 명목척도로서 집단을 구분할 수 있었던 것과는 달리 비율척도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평균차이를 보지 않고 관계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연령 변수에서만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신체적 생활만족도와의 상관계수는 -0.188이고 정의적 생활만족도와의 상관계수는 -0.203이며 사회적 생활만족도와의 상관계수는 -0.195로서 모두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이 많아질수록 ‘신체적 생활만족도’와 ‘정의적 생활만족도’ 그리고 ‘사회적 생활만족도’는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바꾸어 말하면 나이가 젊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다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Cutler(1979)에 의하면, 연령이 증가할수록 결혼이나 친구에 대한 만족도는 증가하는 반면, 건강이나 가족에 대한 만족도는 감소한다고 하였고, 연령이 생활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보다는 건강상태나 사회활동, 경제활동이 간접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하였다. 그러나 Palmore & Kivett(1979)가 실시한 종단적 연구에 의하면 연령이나 성별에 따른 노인의 생활만족도에는 차이가 없다고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는 연령이 지적인 생활만족도와는 관계가 없지만 신체적, 정의적, 사회적 생활만족도와는 매우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결과들과는 조금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배진희(2004)가 농촌지역 노인을 대상으로 생활만족도를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연령과 생활만족도는 부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동일한 결론을 맺고 있다.
따라서 노인들에게 연령이라는 신체적 노화 현상에 대해 부정적으로 사고하기 보다는 긍정적이고 능동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의식변화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신체적만족도 |
지적만족도 |
정의적만족도 |
사회적만족도 |
연령 |
종교회수 |
용돈 | |
신체적만족도 |
1 |
||||||
지적만족도 |
.857(**) |
1 |
|||||
정의적만족도 |
.931(**) |
.888(**) |
1 |
||||
사회적만족도 |
.927(**) |
.851(**) |
.940(**) |
1 |
|
||
연 령 |
-.188(*) |
-.104 |
-.203(*) |
-.195(*) |
1 |
||
종교횟수 |
-.114 |
-.105 |
-.098 |
-.116 |
-.035 |
1 |
|
용 돈 |
-.051 |
-.021 |
-.034 |
-.043 |
-.049 |
-.024 |
1 |
*상관계수는 0.05 순준(양쪽)에서 유의하다.
**상관계수는 0.01 수준(양쪽)에서 유의하다.
제 2 절 노인의 경제활동 및 자원봉사활동
노인종합복지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취업알선 프로그램을 통해 취업을 한 경우는 <표-18>에 나와 있는 것처럼 8명(6.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에 의하면 노인종합복지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프로그램 중 노인의 취업알선 부분이 매우 취약함을 시사하고 있다. 대부분의 노인들은 취업을 희망할 가능성이 높은데 비해 노인복지관을 통해 취업을 한 경우는 전체의 10%에도 미치지 못하다는 것은 노인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취업 부분에 대한 지원책이 모색되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표-18>노인복지관 취업알선을 통해 일하고 있는지의 유무
빈도(명) |
비율(%) | |
그렇다 아니다 무응답 |
8 103 8 |
6.7 86.6 6.7 |
합 계 |
119 |
100.0 |
노인종합복지관에서 알선해준 취업처는 학교관리, 커플매니저, 청소, 무료급식소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커플매니저 일을 하게 된 경우가 3명으로 가장 비율이 높으나 보수는 월 10만원으로 가장 낮았다. 가장 보수가 높은 취업처는 학교 관리로 월 70만원의 보수를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19> 근로종류, 평균 근로기간, 평균수입
빈도(명) |
비율(%) |
평균 근로기간 (개월) |
평균 월수입(만원) | |
학교관리 커플매니저 청소 무료급식 기타 무응답 |
1 3 2 1 1 112 |
0.8 2.5 1.7 0.8 0.8 94.1 |
무응답 13.6 15 48 무응답 - |
70 10 50 10 50 - |
합 계 |
119 |
100.0 |
- |
- |
취업 노인들의 한 달 수입에 대한 만족도는 ‘만족스럽지 못하다’ 가 5명으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그저 그렇다‘에 2명이 응답하여 대부분 한 달 수입에 대해 만족하지 않는 다는 것이다. 이 같은 결과는 노인들에게 취업처를 개발해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오랫동안 지속할 수 있고 만족할 수 있는 수준인가를 먼저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빈도(명) |
비율(%) | |
만족스럽다 그저 그렇다 만족스럽지 못하다 |
1 2 5 |
0.8 1.7 4.2 |
합 계 |
8 |
6.7 |
응답 노인 중 29명(24.4%)이 자원봉사활동을 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자원봉사활동이 노인들의 삶의 질 또는 생활만족도를 높이는데 기여한다는 연구결과들이 있듯이 자원봉사활동은 노후의 삶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현재 자원봉사를 하는 노인이 많은 편이 아니고 노인이 할 수 있는 자원봉사활동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노인복지관에서는 노인들에게 자원봉사의 필요성을 교육하고 노인의 특성과 강점을 활용한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적극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빈도(명) |
비율(%) | |
그렇다 아니다 무응답 |
29 74 16 |
24.4 62.2 13.4 |
합 계 |
119 |
100.0 |
<표-22>는 자원봉사를 하고 있는 노인들의 자원봉사활동의 종류를 정리한 것이다. 표에 의하면 노인들이 가장 많이 하는 ‘무료급식소’로서 11명이 참여한다고 응답을 하였다. 다음으로 많은 것은 ‘독거노인, 장애인에 대한 방문서비스 활동’으로서 6명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공익 캠페인이나 복지관의 행사도우미 역할 등에 참여한 노인들도 있으나 ‘방과 후 학습지도’와 ‘청소년, 교도소 재활지도’와 같은 전문적인 영역에서의 자원봉사는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료급식소와 독거노인의 방문서비스’부분에서는 복수로 봉사하고 있다고 응답 한 노인이 6명이나 되었다.
노인들의 자원봉사활동들은 대부분 노력봉사를 하는 수준으로서 특별한 지식이나 기술이 필요하지 않고, 몸을 움직여서 하는 봉사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여기에는 노인들이 젊었을 때 가지고 있던 지식과 기술을 활용한 자원봉사활동은 많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어떤 자원봉사를 하더라도 노인들이 즐겁고 행복한 기분을 느끼게 해준다면 상관없는 일이지만 자원봉사의 수준을 높이고 더 많은 보람과 긍지를 얻기 위해서는 자신이 남들보다 더 잘 할 수 있는 장점을 활용한 자원봉사활동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런 점에서 노인복지관에서는 기존에 이루어지고 있는 자원봉사활동을 노인들의 특성과 장점을 우선 고려한 후 그에 맞는 자원봉사활동을 찾아내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자원봉사활동의 종류 |
빈도(명) |
비율(%) | |
노인대상 |
독거노인, 장애인에 대한 방문서비스 |
6 |
|
환자나 노인의 대화상대, 호스피스 활동 |
1 |
||
문맹노인 한글지도 또는 영어지도 |
1 |
||
무료급식소 |
11 |
||
아동 청소년 대상 |
어린이에게 한자나 서예, 민속 문화지도 |
1 |
|
어린이들에게 방과 후 학습지도 |
0 |
||
소년원, 교도소 등에서 재활지도 |
0 |
||
등, 하교 길 교통정리 |
1 |
||
전문영역 |
법률, 행정, 의료와 같은 전문적 상담 |
1 |
|
복지관 업무지원 |
복지관의 각종 행사 도우미 역할 |
3 |
|
복지관 행정업무 지원 |
2 |
||
공익활동 |
각종 공익 캠패인 참여 |
5 |
|
환경미화활동 |
2 |
||
재활용품 수집, 환경보호, 공해감시활동 등 |
1 |
||
35 |
자원봉사활동은 불우한 이웃을 돕는 이타적 행동으로, 봉사활동 과정을 통해 봉사자 자신은 사회에 대한 안목을 넓히고, 경험을 축적함으로써 보다 성숙한 자아를 실현하게 된다. 특히 노인자원봉사활동을 통해 자신이 아직도 사회에 유용한 존재라는 인식을 갖게 해 주고, 지역사회와의 교류를 통해 그들의 사회참여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일반인의 자원봉사활동에 비해 유익한 점이 많은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자원봉사를 하는 노인과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노인들의 각 각의 생활만족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원봉사 유무에 따라 노인들의 생활만족도 평균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는 노인은 신체적, 지적, 정의적, 사회적 생활만족도에서 봉사활동을 하지 않는 노인과 분명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노인복지관에서 <표-22>에 제시된 프로그램 이외에도 노인들이 참여할 수 있는 자원봉사활동을 보다 다양하고 참신한 것들로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기존에 진행하고 있는 자원봉사활동은 더욱 동기 부여시키고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생활만족도 |
자원봉사유무 |
평균 |
F |
P |
신체적영역 만족도 총점 |
한다 |
1.471 |
1.211** |
.000 |
안한다 |
1.408 | |||
지적영역 만족도 총점 |
한다 |
1.601 |
.071** |
.000 |
안한다 |
1.760 | |||
정의적영역 만족도 총점 |
한다 |
1.504 |
2.596** |
.000 |
안한다 |
1.334 | |||
사회적영역 만족도 총점 |
한다 |
1.496 |
.788** |
.000 |
안한다 |
1.380 |
*p<.05, **p<.01
<표-23>에서는 단순히 자원봉사활동에 참여 하는가 그렇지 않은가에 따라 생활만족도에 차이가 나는지를 살펴보았다면, <표-24>은 어떤 자원봉사를 얼마 동안 해왔는지에 따라 생활만족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분석한 결과이다.
<표-24>에 의하면, ‘독거노인, 장애인에 대한 방문서비스’는 정의적, 사회적 영역 생활만족도와 관련이 있고, ‘환자 또는 노인의 대화상대, 호스피스 활동’은 정의적 영역 생활만족도와 관계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글지도 또는 영어지도’ 활동은 지적, 사회적 생활만족도와 관계성이 높고, ‘무료급식소’자원봉사활동은 신체적 움직임이 많기 때문에 신체적 생활 만족도와 관련되고, 자원봉사자들끼리의 유대 활동이 많기 때문에 사회적인 차원의 만족도와 관계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처럼 대부분의 자원봉사활동이 ‘신체적 지적, 정의적, 사회적 생활만족도’와 관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나 ‘아동방과 후 학습지도’와 ‘소년원, 교도소 등에서의 재활지도’는 참여한 노인이 없는 관계로 관련여부를 파악할 수 없었다. 또한 법률이나 행정, 의료와 같은 전문적인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응답자는 1명으로 밝혀졌기 때문에 이 또한 생활만족도와의 관계성을 상세히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같은 결과에 의하면, 대부분의 자원봉사활동이 생활만족도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노인복지관에서는 노인들의 자존 능력과 욕구 등을 감안하여 적극적으로 자원봉사활동을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필요하다면 다양한 자원봉사활동을 새롭게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표-24> 자원봉사경력과 생활만족도의 상관관계
v1 |
v2 |
v3 |
v4 |
v5 |
v6 |
v7 |
v8 |
v9 |
v10 |
v11 |
v12 |
v13 |
v14 |
P |
A |
W |
S | |
V1 |
1 |
|||||||||||||||||
V2 |
.133 |
1 |
||||||||||||||||
V3 |
.085 |
.410 |
1 |
|||||||||||||||
V4 |
.185 |
.184 |
.(a) |
1 |
||||||||||||||
V5 |
.148 |
.410 |
.167 |
.763 |
1 |
|||||||||||||
V6 |
.141 |
.184 |
.233 |
.793 |
.366 |
1 |
||||||||||||
V7 |
.131 |
ー.002 |
.336 |
.335 |
.197 |
.067 |
1 |
|||||||||||
V8 |
.038 |
.125 |
.459 |
.286 |
.328 |
.033 |
.171 |
1 |
||||||||||
V9 |
.071 |
.260 |
.085 |
.296 |
.195 |
.036 |
.078 |
.272 |
1 |
|||||||||
V10 |
.110 |
.127 |
.170 |
.145 |
.333 |
.059 |
.154 |
.238 |
.296 |
1 |
||||||||
V11 |
.002 |
.025 |
.237 |
.337 |
.433 |
.085 |
.141 |
.339 |
.145 |
.438 |
1 |
|||||||
V12 |
.029 |
.057 |
.048 |
.296 |
.328 |
.070 |
.162 |
.132 |
.433 |
.439 |
.127 |
1 |
||||||
V13 |
.037 |
.118 |
.269 |
.145 |
.296 |
.037 |
ー.076 |
.315 |
.376 |
.532 |
.025 |
.172 |
1 |
|||||
V14 |
.025 |
.025 |
.339 |
.233 |
.145 |
.236 |
.176 |
.240 |
.169 |
.315 |
.057 |
.138 |
1 |
|||||
P |
.057 |
.057 |
.144 |
.626 (**) |
.333 |
.319 |
.241 |
.927 (**) |
.342 |
.705 (*) |
.118 |
.339 |
.963 (**) |
.940 (**) |
1 |
|||
A |
.118 |
118 |
.842 (**) |
.241 |
.620 (*) |
.232 |
.176 |
.332 |
.319 |
.100 |
.674 (*) |
.432 |
.127 |
.241 |
.496 |
1 |
||
W |
.914(**) |
.905 (**) |
.048 |
.209 |
.335 |
.419 |
ー.041 |
.319 |
.433 |
.213 |
.025 |
.315 |
.025 |
.209 |
.165 |
.241 |
1 |
|
S |
.858(**) |
.410 |
.931 (**) |
.935 (**) |
.286 |
.333 |
.179 |
.233 |
.300 |
.925 (**) |
.057 |
.540 |
.057 |
.886 (**) |
.433 |
.209 |
.410 |
1 |
*상관관계수는 0.05수준(양쪽)에서 유의하다.
**상관관계수는 0.01 수준(양쪽)에서 유의하다.
V1 : 독거노인. 장애인 방문서비스 V2 : 대화상대, 호스피스활동
V3 : 노인 한글지도. 영어지도 V4 :무료급식소 V5 : 아동한자. 서예, 민속문화지도
V6 : 어린이 방과 후 학습지도 V7 : 소년원, 교도소 재활지도
V8 : 등, 하굣길 교통정리 V9 : 법률, 행정, 의료상담 V10 : 복지관 행사도우미
V11 : 복지관 행정업무 지원 V12 : 공익 캠페인 참여 V13 : 환경미화활동
V14 : 재활용품 수집, 환경보호, 공해감시활동 P : 신체적영역 생활만족도 합계
A : 지적영역 생활만족도 합계 W : 정의적영역 생활만족도 합계
S : 사회적영역 생활만족도 합계
제 3 절 신체적영역 프로그램 참여와 생활 만족도
노년의 생활만족도는 자신의 청·장년기의 생활 혹은 사고 유형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한다. 통상 노인이 되면 경직성, 조심성이 증가하고 친근한 사물에 대한 애착심이 많아지며 새로운 것에 거부감이 생겨 쉽게 새것을 수용하지 못하는 특성을 갖게 된다(김태현 외, 1999). 그러나 노인들은 여가활동에 참여함으로써 노년기 삶의 질을 올리며 삶의 만족감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노인들이 여가활동에 참여함으로써 개인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나아가 생활의 만족도를 올리고 심리적 안정감, 삶의 행복감 등을 향상시켜 가게 된다. 결국 노인들이 자신들의 여가를 얼마나 가치 있고 의미 있게 보내느냐가 노후의 고독감 및 고립감을 해소시키고, 남은 삶의 의미를 새롭게 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
송정희(2004)의 연구에 의하면, 신체적 영역 여가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신체적 영역의 생활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이 아니라 지적영역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는 생활만족도 전체에 대한 응답을 하지 않고, 프로그램 성격에 맞추어 생활만족도를 응답하게 했기 때문에 분석 결과를 송정희의 연구결과와 단순 비교하기는 어렵게 되었다.
그럼에도 신체적 영역의 여가 프로그램을 얼마동안 이용했는가, 매월 몇 회 참여했는가와 생활만족도의 관계성을 통해 유추해볼 수 있을 것이다. 그 결과 아래 <표-25>에 나타난 것처럼 신체적 영역의 프로그램에 참여한 기간이 길수록, 매월 참여횟수가 많을수록 신체적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송정희의 연구 결과와는 달리 신체적 프로그램(에어로빅, 건강체조, 요가, 게이트볼, 댄스 등)을 많이 이용할수록 신체적 생활만족도가 높아지므로 더욱 다양하고 참여가 용이한 건강(신체적)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겠다.
신체적영역프로그램 참여기간 |
신체적영역프로그램 참여횟수 |
신체적영역프로그램 만족도 합계 | |
신체적영역,프로그램참여기간 |
1 |
||
신체적영역 프로그램 참여횟수 |
.970(**) |
1 |
|
신체적영역프로그램 만족도 합계 |
.963(**) |
.942(**) |
1 |
* 상관관계수는 0.05 수준(양쪽)에서 유의하다.
** 상관관계수는 0.01 수준(양쪽)에서 유의하다.
제 4 절 지적영역 프로그램 참여와 생활만족도
지적영역의 프로그램들로는 한글, 영어, 한문교실과 같은 어학영역과 시사문제, 문화교실, 명사초청강좌, 견학과 같은 교양상식영역 그리고 컴퓨터교육 영역이 해당된다. 이 같은 프로그램들은 학습능력을 높이고,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는 사회를 이해하게 되며, 사회생활에 필요한 지식 등이 풍부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결과에서도 지적인 프로그램에 오랜 기간 참여할수록, 매월 참여횟수가 많을수록 지적인 생활만족도 역시 높아진다는 것을 <표-26)에서 보여주고 있다. 단, 교양상식 프로그램에 참여한 횟수와 지적 생활만족도간에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노인종합복지관에서 시사문제나 명사초청강연 그리고 견학과 같은 프로그램을 자주 실시하는 편이 아니라서 참여할 수 있는 횟수 자체가 매우 적은 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노년기에 새삼스럽게 무엇을 배운다는 것은 쉽지 않은 것이며, 주변의 부정적 인식을 접할 수 있다. 그러나 노인의 능동적인 여가를 통해 에너지를 충전하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TV시청이나 고스톱 또는 화투와 같은 수동적 여가로서는 달성하기 힘들 수 있다. 반면 능동적인 여가는 삶의 에너지를 재충전하고 삶을 윤택하게 한다. 여가의 목적 자체가 개인의 삶을 풍요롭게 하여 궁극적으로는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있다고 한다면 지적인 영역의 프로그램을 더욱 알차게 개발하고 노인들로 하여금 여가를 보다 창의적으로 만들어갈 수 있는 역량을 키워줄 수 있어야 하겠다.
어학영역 참여기간 |
어학영역 참여횟수 |
교양상식 참여기간 |
교양상식 참여횟수 |
컴퓨터영역 참여기간 |
컴퓨터영역 참여횟수 |
지적영역 생활만족도 합계 | |
어학영역 참여기간 |
1 |
||||||
어학영역 참여횟수 |
.854(**) |
1 |
|||||
교양상식 참여기간 |
1.000(**) |
.307 |
1 |
||||
교양상식 참여횟수 |
-.515 |
-.418 |
.869(*) |
1 |
|||
컴퓨터영역 참여기간 |
.778(**) |
.640(**) |
.186 |
.134 |
1 |
||
컴퓨터영역 참여횟수 |
.740(**) |
.692(**) |
.266 |
-.416 |
.640(**) |
1 |
|
지적영역 생활만족도 합 계 |
.856(**) |
.723(**) |
.792(*) |
-.282 |
.798(**) |
.520(**) |
1 |
* 상관계수는 0.05 수준(양쪽)에서 유의하다.
** 상관계수는 0.01 수준(양쪽)에서 유의하다.
제 5 절 정의적 영역 프로그램 참여와 생활만족도
정의적 영역의 프로그램으로는 음악, 미술, 전통문화, 바둑, 종이접기, 영화감상, 생신축하 등이 해당된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매우 흥미롭게 참여가 가능하지만 정의적 생활만족도와는 관계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27>에 의하면, 각 프로그램의 참여기간과 횟수 간에는 일정 정도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정의적 생활만족도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성이 도출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이 같은 결과는 현재 노인종합복지관에서 다양한 정의적 영역 프로그램들이 진행되고 있으나 ‘심리적인 안정’이나 ‘사는 것에 대한 보람’ 그리고 ‘현재 행복한 감정’을 심어주기에는 역부족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음악, 미술, 전통문화, 바둑, 종이접기, 영화감상, 생신축하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진행하는 과정에서 형식적이고 틀에 짜인 방식으로가 아닌 노인들의 생활만족도를 진작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내용과 진행방법을 모색해볼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음악영역참여기간 |
음악영역참여횟수 |
미술영역 참여기간 |
미술영역참여횟수 |
전통문화참여기간 |
전통문화참여횟수 |
오락취미 참여기간 |
오락취미참여회수 |
기타참여기간 |
기타참여횟수 |
정의적 만족도 총점 | |
음악영역 참여기간 |
1 |
||||||||||
음악영역참여횟수 |
-.140 |
1 |
|||||||||
미술영역참여기간 |
1.000 (**) |
-.1000(**) |
1 |
||||||||
미술영역참여횟수 |
.(a) |
.(a) |
-.505 |
1 |
|||||||
전통문화참여기간 |
.888 (**) |
.937 (**) |
1.000 (**) |
.(a) |
1 |
||||||
전통문화참여횟수 |
-.750 |
.979 (*) |
1.000 (**) |
.(a) |
-.150 |
1 |
|||||
오락취미참여기간 |
-.361 |
-.101 |
.(a) |
.(a) |
-1.000 (**) |
.951 |
1 |
||||
오락취미참여횟수 |
-.352 |
.371 |
.(a) |
.(a) |
.(a) |
.540 |
.305 |
1 |
|||
기타 참여기간 |
.413 |
.(a) |
.(a) |
.(a) |
.(a) |
1.000 (**) |
1.000 (**) |
.988 |
1 |
||
기타참여횟수 |
.362 |
.500 |
.(a) |
.(a) |
.(a) |
1.000 (**) |
-.497 |
.365 |
.985 (**) |
1 |
|
정의적 만족도 합계 |
.125 |
-.304 |
.(a) |
.(a) |
-.253 |
-.163 |
.124 |
-.137 |
.569 |
-.463 |
1 |
*상관관계수는 0.05수준(양쪽)에서 유의하다. **상관관계수는 0.01 수준(양쪽)에서 유의하다.
제 6 절 사회적영역 프로그램 참여와 생활만족도
노인들은 여가활동을 통해 다른 사람과의 교류로 친교의 기회를 얻으며, 감정적인 고립이나 사회적 고립에서 벗어나게 된다. 또 어려운 일이나 급한 상황에서 자신에게 도움을 주거나 자신을 지지해 줄 수 있는 관계망을 형성하게 된다고 할 수 있다. 결국, 많은 노인들이 사회적 관계망을 만들기 위해 특정한 공동체의 구성원이 되려고 하는 욕구는 사회통합의 수단으로서 여가의 가치를 더욱 부각시킨다.
본 연구에서 사회적 영역 프로그램 참여와 사회적 생활만족도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봉사활동이나 자치활동과 같은 사회적 영역의 참여기간과 경연대회와 각종 행사와 같은 프로그램에 참여해온 기간이 길수록 사회적 생활만족도 역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중에서 재취업관련 강좌를 수강한 사람이 많지 않은 관계로 강좌 수강기간과 생활만족도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영역 여가프로그램들은 짧은 기간 동안 자주 참여하기보다는 매월 몇 회 참여하지 않아도 꾸준히 오랫동안 참여한다면 생활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같은 결과는 노인종합복지관 프로그램에 시사점을 주고 있는바, 일시적인 회원 확충을 위한 노력보다는 장기적이고 지속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인적 관리방안을 더욱 철저히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사회적영역 참여기간 |
사회적영역 참여횟수 |
사회활동영역참여기간 |
사회활동참여횟수 |
재취업 강좌 참여기간 |
재취업강좌참여횟수 |
사회적영역 생활만족도 | |
사회적영역 참여기간 |
1 |
||||||
사회적영역 참여횟수 |
.341 |
1 |
|||||
사회활동영역 참여기간 |
.927(**) |
.419 |
1 |
||||
사회활동영역 참여횟수 |
-.536 |
.004 |
-.024 |
1 |
|||
재취업강좌 참여기간 |
-.306 |
.577 |
1.000(**) |
1.000(**) |
1 |
||
재취업강좌 참여횟수 |
.556 |
.577 |
.566 |
.267 |
.(a) |
1 |
|
사회적영역 생활만족도 |
.916(**) |
.298 |
.817(**) |
-.307 |
-.312 |
-.110 |
1 |
*상관계수는 0.05 수준(양쪽)에서 유의하다.
**상관계수는 0.01 수준(양쪽)에서 유의하다.
제 Ⅴ 장 각 영역별 프로그램의 개선방안
제 1 절. 신체적 영역 프로그램의 개선방안
신체적 영역 프로그램의 개선에 대한 욕구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 프로그램, 즉 참여하고 싶은 프로그램이 부족하다”는 응답이 15명으로 가장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남궁완 외(2006)가 지적한 것처럼 노인복지관에서 제공되는 여가프로그램들이 성, 연령 등 노인 개인의 사회문화적인 환경을 고려하기보다는 보편적인노인이라는 큰 틀에서 프로그램이 제공되기 때문에 노인의 욕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나항진(2004).이 노인복지관 노인대학 프로그램들이 개성 없는 획일적 프로그램을 나열하고 있고 프로그램의 제한된 공급으로 인해 노인들이 프로그램을 선택할 때 그 폭이 그리 넓을 수 없다고 지적한 것처럼 본 조사 연구에서도 이용자들의 개선 욕구가 드러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노인복지관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정부의 재정적 미비의 원인을 찾을 수도 있으나 새로운 프로그램의 개발 의지가 부족할 수도 있음을 지적할 수 있다. 이는 노인복지관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과 YWCA와 같은 사회단체 또는 종교단체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거의 유사한데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서 노인복지관이라는 기관의 특성과 장점을 살리고 있는 프로그램을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노인복지관 이용자들의 욕구를 반영하여 선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더욱 다양하게 개발하여 노인들의 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표-29> 신체적 영역 프로그램의 개선방안
개 선 방 안 |
빈도(명) |
비율(%) |
선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미비 |
25 |
21.0 |
흥미, 재미있는 프로그램 부족 |
1 |
0.8 |
프로그램 확대를 위한 예산확대 필요 |
1 |
0.8 |
프로그램 참여 시간 부족 |
10 |
8.4 |
프로그램 참여횟수 부족(주2회 요청) |
1 |
0.8 |
프로그램장소가 협소함 |
1 |
0.8 |
프로그램장소가 지저분함 |
1 |
0.8 |
프로그램장소 조명이 어둡다 |
1 |
0.8 |
포켓볼(당구)대가 부족함 |
4 |
3.7 |
전용탁구장이 부족하다 |
2 |
1.7 |
탁구코치가 있었으면 좋겠다 |
1 |
0.8 |
질서가 보족하다 |
2 |
1.7 |
강사가 교체되지 않았으면 좋겠다 |
1 |
0.8 |
무 응 답 |
68 |
57.1 |
합 계 |
119 |
100.0 |
제 2 절. 지적 영역 프로그램의 개선방안
지적영역의 프로그램들로는 한글, 영어, 일어, 한문교실과 같은 어학영역과 시사문제, 문화교실, 명사초청강좌와 같은 교양상식 영역 그리고 컴퓨터와 인터넷 교육이 있다. 이처럼 지적 영역의 프로그램들은 단순히 흥미 위주의 프로그램들보다는 자기개발 측면이 부각되고 있는 프로그램들임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 노인들은 대부분 자기 개발을 위한 노력보다는 흥미 위주의 여가활동을 선호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항진(2004)의 조사연구에서 선호하는 프로그램으로 ‘오락프로그램’이 가장 많은 40%를 차지하였고, ‘학습프로그램’에는 25%로 나타났다. 이처럼 흥미 위주의 오락 프로그램에 관심이 더 많은 편이지만 지적영역이라 할 수 있는 학습 프로그램에 대해 관심을 보이는 노인들도 있으므로 이 영역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유인가가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Bookfield(1986)가 지적했듯이 학습과 같은 능동적인 여가활동은 공식적인 관계망을 형성하고, 그에 따른 역할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노년기의 상실로 인해 실추된 자아를 회복시키기 때문이다. 특히 노인의 여가는 노동력 재생산을 위한 수단이 아니라 노동을 전제로 하지 않는 ‘여가를 위한 여가’가 되기 쉬우므로 언제나 여가가 넘쳐나는 생활을 해야 한다는 것은 여가 자체가 즐거움이라기보다 무료함이라는 문제를 제기하고, 그것은 결국 노인들에게 정신적, 정서적 고통을 안겨 줄 수도 있다.
따라서 인간관계의 긴장 상태에서 해방되어 휴식을 취하고 자기 생활의 균형을 회복하는 본연의 의미로서의 여가가 노인에게도 필요하며, 노인들도 자신의 즐거움과 문화성 및 창조성을 발휘하여 특히 젊었을 때에 해보지 못한 새로운 경험에 도전하여 노년기의 생활을 의미 있게 보내기 위한 노인의 여가 활동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지적 영역에 참여하는 노인들 중에서 ‘자기개발을 위한 창조적 활동이 필요하다’ 고 응답한 비율이 18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즉, 노인들도 젊은 사람들 못지않게 학습을 통해서 자신의 창조성을 발휘하고 자아실현을 하고자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현재 노인복지관에서 진행되는 지적영역 프로그램들이 이러한 노인들의 욕구를 충분히 반영해주지 못하고 있음도 알 수 있다.
따라서 노인복지관에서는 노인들의 이러한 욕구를 기초로 흥미위주의 프로그램 개발에만 관심을 갖기 보다는 지적인 프로그램들을 개발하여 자신의 인생을 창조적 삶의 시간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하여 궁극적으로는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창조적 활동이 필요하다’는 응답 보다는 저조하지만 ‘정부차원의 강사를 파견해 달라’는 요청이 두 번째로 많았다. 이는 신체적 영역에서도 나왔던 것으로서 강사의 잦은 교체에 대한 불편함과 연관 지어 유추해볼 수 있겠다. 즉 자원봉사자 차원에서 강사가 운영될 경우 중도 탈락 위험은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이 같은 요구는 현실적으로 즉각적인 반영이 힘들더라도 노인복지관 강사들의 자질과 태도 등에 대한 보다 철저한 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해준다.
개 선 방 안 |
빈도(명) |
비율(%) |
자기개발을 위한 창조적 활동 필요 |
18 |
15.1 |
컴퓨터실 상시 개발 필요 |
2 |
1.9 |
정부차원의 강사 파견 필요 |
7 |
5.9 |
자주 복습기회가 주어졌으면 좋겠다 |
1 |
0.8 |
무 응 답 |
91 |
76.5 |
합 계 |
119 |
100.0 |
제 3 절. 정의적 영역 프로그램의 개선방안
정의적 영역 프로그램으로는 가요, 합창, 민요와 같은 음악영역과 수채화, 댓생과 같은 미술영역 그리고 국악, 서예, 탈춤, 시조와 같은 전통문화영역이 해당된다.
본 조사 연구에 의하면, 정의적 영역 각 각의 프로그램에 대한 욕구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가요프로그램 시간이 짧으므로 시간을 늘려 달라’는 것과 ‘탈춤 프로그램이 생겼으면 좋겠다’ 그리고 ‘합창 프로그램이 생겼으면 좋겠다’와 같은 응답이 각 각 1명씩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의 개선은 한 사람만의 욕구 또는 요구를 통해서 반영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그 개인의 선호 욕구를 전체에게로 확대시키기는 곤란하다.
따라서 정의적 영역에 대한 개선방안에 대해서는 본 연구에서 특별히 제시할 것은 없다고 판단된다.
개선점 |
빈도(명) |
비율(%) |
가요 프로그램 시간부족 |
1 |
0.8 |
탈춤 프로그램 개설요망 |
1 |
0.8 |
합창 프로그램 개설요망 |
1 |
0.8 |
무 응 답 |
116 |
97.5 |
합 계 |
119 |
100.0 |
제 4절. 사회적 영역 프로그램의 개선방안
본 조사연구에서는 배운 것을 사회에 환원하고 싶다는 의견이 다른 욕구보다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김희숙(2006)의 연구에서 노인복지관 이용자들이 자원봉사에 대해 참여하고 싶다는 의견이 52.1% 이었고, 고려해보겠다는 의견은 30.0%인 것으로 밝혔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를 통해서도 노인복지관 이용자들이 단순히 흥미 위주의 프로그램에서 탈피하여 사회에 환원함으로써 사회적 역할을 찾고 자기 효능감을 강화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다는 것을 유추해볼 수 있다. 박영례 외의 연구에서 자기효능감은 자기존중감과 함께 노인의 삶의 질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요소라는 것을 밝혔듯이 노인들이 사회에 무언가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고, 노후의 보람찬 생활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많은 개선 요구사항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실제적인 교육 필요’로서 7명의 이용자가 응답하였다. <표-18>에 의하면 노인복지관의 취업알선을 통해서 일을 하게 된 노인은 8명으로서 전체의 6.7%에 불과하였다. 또한 본 연구 <표-28>에 나타난 것처럼 재취업 강좌와 생활만족도간에는 상관관계가 존재하지 않았다.
이같은 결과는 노인복지관에서 실시하는 취업관련 프로그램이 만족스럽지 못하며, 취업으로 연결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같은 사실은 김희숙(2006)이 지적한 것처럼 현재 노인복지관을 노인들이 취업을 위한 상담이나 알선활동은 이루어지고 있으나 재취업을 위한 기술교육은 전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고 하였다. 즉, 노인복지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취업 지원프로그램들이 실제로 일자리를 만들어낼 수 있는 정도의 수준은 아니라는 것이다.
경제활동은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상관관계가 매우 높고, 자기효능감을 높여 줌으로써 노후의 삶을 보람차게 보낼 수 있게 한다. 그럼에도 노인복지관에서는 노인이라는 제한점과 노동시장 진입의 어려움 등을 이유로 적극적인 재취업 교육을 개발해오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향후에는 노인들의 욕구를 기반으로 재취업 관련 교육의 확대와 실질적인 취업획득 기술을 터득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또한 노인의 여가 선용이란 단지 개인적으로 시간을 유용하게 보내는 것 이외에 권리 주체로서의 노인에 대한 이해의 틀 속에 그들에게 새로운 사회적 역할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즉, 인간자원의 보고로서 노인층의 잠재력을 사회적으로 이끌어 내는 동시에 사회로부터 격리되고 한계화되고 있는 노인들을 사회적으로 통합시키고, 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앞으로 고령화 사회의 새로운 도전이 될 것이다.
이외에도 ‘노인 세력화를 위한 프로그램의 필요’와 ‘취업교육 강사의 자질개선’ 그리고 ‘흥미로운 프로그램의 개발’, ‘다양한 봉사활동 기회확충’ 등의 응답이 나왔다. 노인 세력화를 위한 프로그램의 욕구는 노인들이 사회적 약자로서 소극적이고 수혜적인 대상으로 전락한 것에 대해 적극적으로 자신들의 권리를 찾으려는 의식이 형성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사회복지가 단순히 서비스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주체적인 사회인으로 성장하도록 돕는 것이라고 할 때, 노인들 스스로 권리의식을 찾아갈 수 있도록 돕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모색이 필요하리라 판단된다.
<표-32> 사회적영역 프로그램의 개선방안
개 선 점 |
빈도(명) |
비율(%) |
일자리 창출을 위한 실제적인 교육 필요 |
17 |
14.2 |
노인 세력화를 위한 프로그램 필요 |
5 |
4.2 |
취업교육 강사의 자질 문제 개선 |
1 |
0.8 |
프로그램이 재미가 없다. |
1 |
0.8 |
배운 것을 사회에 환원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
26 |
21.8 |
참여할 수 있는 봉사활동이 다양했으면 좋겠다 |
1 |
0.8 |
무 응 답 |
68 |
57.1 |
합 계 |
119 |
100.0 |
제 Ⅵ 장 결 론
제 1 절 요약
노인복지관 프로그램 참여정도와 노인의 생활만족도간의 관계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봉사를 하는 노인과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차이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원봉사유무에 따라 노인들의 생활만족도 평균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는 노인은 신체적, 지적, 정의적, 사회적 생활만족도에서 봉사활동을 하지 않은 노인과 통계적으로 높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독거노인, 장애인에 대한 방문서비스’는 정의적, 사회적 영역 생활만족도와 관련이 있고, ‘환자 또는 노인의 대화상대, 호스피스 활동’은 정의적 영역 생활만족도와 관계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글지도 또는 영어지도’ 활동은 지적, 사회적 생활만족도와 관계성이 높고, ‘무료급식소’ 자원봉사활동은 신체적 움직임이 많기 때문에 신체적 생활만족도와 관련되고, 자원봉사자들끼리의 유대 활동이 많기 때문에 사회적인 차원의 만족도와 관계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여가활동 프로그램 참여와 생활만족도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신체적영역의 프로그램에 참여한 기간이 길수록, 매월 참여횟수가 많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적인 프로그램에 오랜 기간 참여할수록, 매월 참여횟수가 많을수록 생활만족도 역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 미술, 전통문화, 바둑, 종이접기, 영화감상, 생신축하 등과 같은 정의적 영역 프로그램들은 생활만족도와는 관계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의적 영역 프로그램들이 ‘심리적인 안정’이나 ‘사는 것에 대한 보람’ 그리고 ‘현재 행복한 감정’과 같은 생활만족도를 진작시킬 수 있도록 방법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사회적 영역 프로그램 참여와 생활만족도간의 관계를 살펴 본 결과, 봉사활동이나 자치활동과 같은 사회적 영역의 참여기간과 경연대회와 각종 행사와 같은 프로그램에 참여해온 기간이 길수록 사회적 생활만족도 역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영역 여가프로그램들은 짧은 기간 동안 자주 참여하기보다는 매월 몇 회 참여하지 않아도 꾸준히 오랫동안 참여한다면 생활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셋째, 노인의 일반적인 사항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차이여부를 분석한 결과, 성별과 교육수준 그리고 종교유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점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노인의 건강상태, 배우자 유무, 동거가족 유형은 유의수준 0.01에서 높은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연령이 높아질수록 신체적, 정의적, 사회적 만족도가 떨어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넷째, 본 연구의 목적 중에는 노인의 경제활동에 따라 생활만족도의 차이여부를 알아보는 것이 포함되어 있었으나 조사 결과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노인이 너무 적어 통계적인 분석이 어려웠다. 따라서 향후 후속연구에서는 노인복지관 경제활동 프로그램과 노인의 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판단된다.
본 연구를 실시한 결과, 노인종합복지관에서 실시되고 있는 자원봉사활동과 여가 프로그램들은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노인종합복지관에서 실시되는 사회활동 지원 프로그램들은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매우 유용한 대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앞으로도 더욱 다양하고 참신한 프로그램들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제 2 절 제언
노인종합복지관 프로그램 이용정도와 노인의 생활만족도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노인종합복지관의 프로그램 개선에 관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결과, 대부분의 자원봉사활동이 생활만족도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노인복지관에서는 노인들의 기존 능력과 욕구 등을 감안하여 적극적으로 자원봉사활동을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 의하면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는 인원이 29명(24.4%)에 불과한 실정이며, 전문적 영역보다는 무료급식소와 독거노인 가정방문 등에 편중되어 있다. 자원봉사활동 대부분이 노인의 생활만족도 향상에 도움이 되고 있으나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자원봉사활동이 되기 위해서는 노인들의 기존 지식과 기술을 발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히 요청된다. 이를 위하여 노인종합복지관 자체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지역사회의 다양한 자원들을 발굴하여 연계(Linkage)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서 여가활동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 연구 결과들을 재차 확인할 수 있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로그램의 참여기간이 길수록, 참여횟수가 많을수록 노인의 생활만족도가 대부분 높아졌으나 이 중에서 참여기간이 참여횟수보다 관련이 많게 나타났다. 즉, 자주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것도 좋지만 오랜 기간 꾸준히 참여하는 것이 생활만족도 향상에 더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일시적인 회원 확충을 위한 노력보다는 장기적이고 지속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인적 관리방안을 철저히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 진다.
노인복지관의 실적 중에는 얼마나 많은 사람이 복지관을 이용하는가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앞으로는 각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사람이 얼마나 오랫동안 해당 프로그램에 참여하는가를 복지관의 사업수행 평가척도로서 사용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를 통해 양적인 회원 확보 보다는 프로그램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보다 많은 노력들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연령과 배우자 유무 그리고 가족유형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관련이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노인의 일반적인 사항들은 노인종합복지관 차원에서 개선시킬 수 있는 것이 아니지만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에서는 참고해야할 주요 사항이라 여겨진다. 특히 배우자가 있고 없고는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을 참고하여 노인종합복지관 이용자 중 홀로 사는 남녀 노인들의 건전한 접촉기회를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최근 ‘노인의 성’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 노인종합복지관에서 주도적으로 이 문제에 대한 대책을 모색함으로써 대내외적으로 종합적인 노인복지센터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넷째, 본 연구의 목적은 아니었지만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가족의 지지정도와 생활만족도간의 관계를 함께 알아보았다. 그 결과 가족의 지지가 많아질수록 ‘신체적 생활만족도’와 ‘정의적 생활만족도’ 그리고 ‘사회적 생활만족도’ 역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적인 생활만족도는 가족의 지지정도에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지지는 스트레스 생활경험에 대한 완충작용을 함으로써 노인의 정신건강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노인복지관에서는 노인들이 가족들의 지지를 받을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 진다. 이를 위해서는 노인종합복지관 프로그램에 노인 단독으로만 참석하는 것이 아니라 가족 전체가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노인 가족들은 마음은 있으나 실천 방법을 모를 수 있으며, 특별한 계기를 필요로 하여 질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가족들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상호 지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장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는 각 여가활동 프로그램의 어떤 요소들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관계가 있는지는 파악하지 못하였다.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프로그램의 요소에는 해당 프로그램의 흥미도, 시간, 장소, 담당 직원, 예산지원수준, 남녀 구성비, 참여자간 친밀도 등 매우 다양한 변인이 작용할 것이다. 이 같은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노인종합복지관 프로그램을 질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이런 부분을 다루어주길 기대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종합복지관에서 실시되고 있는 프로그램들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관계가 많다는 것으로서 오랜 기간, 자주 이용할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고령화 사회에 대한 대처방안으로서, 향후 노인요양보험제도와 같은 정책 추진 과정에서 노인종합복지관이나 노인여가복지 시설의 확충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노인의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해 노인복지관에서 보완해야할 부분은 분명히 존재하지만 현재까지 이루어지고 있는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고려할 때 보다 많은 노인종합복지관이 확충된다면 노인들의 노후생활이 보다 만족스럽게 보낼 수 있는 기회마련이 되어 질 것이다. 은퇴기를 60으로 본다고 하여도, 남은여생 20~30년을 보람과 긍지를 가지고 지나 온 삶을 회한 없이 만족한 인생을 보낼 수 있도록 기회제공을 하여야 할 것이다 .
일반적으로는 경제적인 풍요만 이루어지면 노후를 안락하게 살아갈 것이라고 한다. 물론 경제적인 기반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경제적인 수준과 행복이 비례하지는 않다는 것이다. 보편적으로 노후 준비 없이 살아온 현재의 노인 세대에게는 물론 경제력 증진을 위한 일자리 창출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노인들의 삶의 만족과 행복을 증진하기 위해 가치 있는 활동에 적극 참여하도록 사회적 배려가 있어야 한다. 노인들이 사회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제공은 자신감을 갖게 되고, 무위, 소외, 고독으로부터 벗어나 세상 살아가는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노인복지관의 다양한 프로그램개발과 정책적인 대안마련이 중요하다. 또한 노인 스스로도 적극적인 참여와 활동으로 변화된 사회를 역동적으로 살아가기 위한 노력이 있어야 한다. 노인 스스로의 역량이나 가치기준에 따라 목표를 달성하였을 때의 성취감으로 행복을 느끼게 되면 생활의 만족으로 삶의 질도 향상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삶을 살도록 하기 위해서는 욕구가 무엇인지 그 무엇인 욕구도 찾아 충족시켜 줄 수 있어야 진정한 복기국가·복지사회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욕구가 있는 노인들에게 사회교육(정규교육 확대개방), 문화적인 활동, 봉사 등의 기회를 부여하여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사회활동을 할 수 있도록 제반여건을 조성하여야 한다.
노인들의 건강은 사회적인 부양부담을 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인들의 생활만족에도 영향이 있기 때문에 노인복지관은 프로그램의 활용도를 위하여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평균기대수명 90세에 대한 대비를 다각도로 노력을 하여야 한다.
따라서 질적으로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노인복지관 프로그램을 내실 있게 다져나가면서 양적으로는 노인복지관의 확충을 통해 갈수록 고령자가 늘어나고 있는 현 상황을 지혜롭게 대처해나갈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참고 문헌
Ⅰ. 국내문헌
1. 단행본
강욱모 외,「 21세기 사회복지정책」, 청목출판사.2006
권중돈, 「노인복지론」, 학지사, 2005
김영모, 「사회복지학」, 고헌출판사, 2001
김영호 외, 「자원봉사활동과 복지교육」, 학문사, 1996
김재인·허현란, 「여성노인의 여가교육프로그램개발」, 한국여성개발원, 1999
박종삼, 「사회복지학개론」, 학지사, 2005
박태룡, 「노인복지론」, 대구대학교 출판부, 2004
보건복지부, 「양극화를 이겨내는 희망프로젝트」,2006
서울복지재단, 「노인종합복지관 평가결과」, 서울특별시·서울복지재단, 2005
서울특별시, 「노인복지 기초수요조사 및 정책개발 연구」, 2003
오영희 외,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이기홍 외, 「한국노인의 삶의 질」, 한림대학교 출판부, 2006
임춘식 외 5인공저, 「세계노인복지정책」학현사, 2005
통계청, 「2005 고령자통계」, 통계청, 2005
2. 학술논문
고양곤. “노인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 방안”, 「노인복지연구」.제6호, 한국노인복지학회. 1999
고영애. “노인 복지관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정보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논문. pp25~29. 2005
권승・황규선. “노년층 은퇴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4권. 3호(통권47호).2004
권중돈, “노인에 의한 교육프로그램의 세대통합 효과에 관한 연구”,한국노년학제25권, 2호, 2005
기영화. “노인학습의 신화와 노인교육 기회증진방안”,한국노인 문제연구소, 학술논문정보. 2001
김동배. “한국노인의 노인정 참여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학 12호. 1988
길귀숙. “노인 만성질환자의 케어 및 호스피스 서비스 이용관련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2004.춘계학술대회>. PP101~124
김기태·박봉길,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사회지지망”,한국노년학, vol. 20, No.1.153~168. 2000
김애련. “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연구”,원광대학교. 박사논문.2000
김영호 외. “자원봉사활동과 복지교육”, 학문사.1996
김종숙.“한국노인의 생활만족에 관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논문.1986
김응태·박찬길·유신환, “21세기 노인여가정책의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부설체육학과연구 논문집. 제 24호, PP45~59.2001
나항진.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인 여가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4) pp.53~70. 2004
노인복지법 제36조 2004.1.29 시행령, 시행규칙개정안, 보건복지부
박경순. “한국노인복지정책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연구”. 2001
박경혜·이윤환, “노인의 사회활동이 신체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Vol.26, 2006
박기남, “성별·지역별 특성에 따른 노인의 삶의 만족도 연구”,여성연구, 2002
박기남, 「“년기의 삶의 만족도의 성별 차이”,한국노년학제24 권3호 (통권47호).2006
박영례 외, “노인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vol 29, 2005, pp.237~258
박종우 · 김춘택, “성마을노인의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한국노년학, Vol.26.2006
박충선, “년기의 생활시간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Vol.18, 1998
배진희. “농촌지역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생활만족도: 자녀와 이웃지원의 기능 적 측면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vol 20, pp.197~216.
송예헌. “노인이 인지하는 가족지지와 정신건강 및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연구”,
정신간호학회지, 제10권 제4호. 2001
송정희.「“인복지관 프로그램 이용과 노인생활만족도에 관한 조사연구”, 광운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논문, 2004, pp.7~8. 2004
송희주. “노인복지관 프로그램 이용과 노인생활만족도에 관한 조사 연구”, 원광대 학교 행정대학원 석사논문, pp. 7~8.2004
야마카타 후미하루.“소 자녀 고령사회와 가정생활”. 일본오사카 시립대학교. 서울대학교
국제학술심포지엄.1996
안경숙. “노인부부가구· 노인독신가구의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 학. 제25권1호(통권49호).2005
오카모토 다끼오. “고령자의 생활과 사회복지역할”, 메이지대학교. 제1회 노년학회 국제학술 심포지엄.2006
유수정·김현숙·한기량. “재가노인의 신체적 건강,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및 보건복지욕구 조사”, 한국노년학. 2002
윤병섭・여윤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우리나라 노인복지 프로그램의 개 선방안”. 한국인간관계학회. 제8권 1호.
윤현숙. “노부모와 자녀간의 지원교환이 노인의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영향”
한국노년학회. 제23권3호(통권43호).2003
이근홍. “노인의 사회참여와 자원봉사”, ‘01 춘계학술회의 자료집, 한국노인복지학회. 2001
이가옥. “노년기의 삶의 질:지표개발과 평가”, 보건복지부.2001
이기철.“노인의 여가 활동 참가에 관한연구”,(2001.2).외대논업제22집.2000
이기춘·여정성. “고령화 사회의 노년기 경제생활문제와 그 대책”. 서울대학교. 국제학술심포지엄.1996
이기홍 외, “한국노인의 삶의 질”, 한림대학교출판부.2006
이미진・이가옥. “장기요양 보호 노인의 수발만족과 노인 우울증의 상관관계에 관한연구”, 한국노년학회제25권1호(통권49호).2005
이병록.“노인복지시설의 사회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연구”, 한국노년학 제24권 3호.(통권47호),2004
이상덕.“노년기 여가활동과 스트레스·삶의 질에 관한 연구”,고려대학교, 박사논문.2004
이선미.“노년기 부부의 외로움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제25권1호(통권49호).2005
이승범. “노인종합복지관의 운동프로그램이 노화, 체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사회체육학과 대학원 박사논문, p.14. 2002
이은경・김남줄.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인교육의 발전 방향”. 한국가족복지학(제 5권 1호)
이은희・김금운・한규석・주리애. “노인의 안녕감에 미치는 생성감의 역할”, 한국노년학회. 24권 3호(통권 47호).2004
이인수. “한국노인자원봉사의 의미와 실태“. 노인복지학회 ‘01춘계학술회의 자료집. pp 20~38.2001
이현송. “노인의 삶의질에 대한 재검토”,제1회서울노년학국제학술심포지엄.2006
임춘식. 인천가톨릭사회복지위원회 학술세미나 발표원고.1999.5.23
임춘식. “고령화 사회와 노인문제”. 노인복지 레크레이션 자격증 취득연수 특강 자료.2001.12
임춘식. 노인복지 레크레이션 자격증취득 연수특강자료. 2001.12.28
임춘식. “21세기의 노인복지와 삶의 질”, 원광대학교행정대학원특강.2002.12
정태연. “노년기의 외로움 및 생활만족도와 관련된 변인탐색”.한국노년학회. 제25권1호(통권49호
조추용. “노인의 여가활용과 사회참여에 관한 연구”,한국노인복지학회(2003. 추계학술대회).
차성환. “노인종합복지관과 노인의 삶의 질과의 관계‘, 연세대학교석사논문. 1999
최성재. “고령사회에서의 노년기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패러다임”. 한국노인과학학술 단체연합회.2006
최혜지. “손 자녀 양육형태가 노부모와 성인자녀의 세대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제24권 3호.(통권47호).2004
한경혜.“인구의 고령화와 가족생활”.서울대학교, 국제학술심포지엄.1996
한형수.“한국사회 도시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연구”.고려대학교. 박사논문. 2002
황진수. “노인인력 활용방안” 한성대학교. 한·일국제학술심포지엄.2005
3. 기타자료
국회전자도서관 : http://www.han.go.kr/
보건복지부 : http://www.mohw.go.kr/indetx.jsp
사회복지정보원 : http://welfare.or.kr/
통계청 : http://www.nso.go.kr/
한국사회복지사협회 : http://welfae.net/
Ⅱ. 외국문헌
Brookfield, S. D. 「Understanding and facilitating adult learing」. San Francisco : Jossey-Bass. 1985
Medley, M.L.「Satisfaction with Life among persons Sixty-Five Years and Older」,
Journal of Gerontology,31,No. 4
노인종합복지관 프로그램 참여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조사
안녕하십니까?
저는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사회복지학과에서 사회복지학을 전공하고 있습니다.
본 설문지는 「노인종합복지관 프로그램 참여가 노인의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위한 것입니다. 여러분의 솔직한 응답은 노인복지분야 연구를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하게 될 것입니다.
어르신께서 응답하신 내용은 무기명으로 실시하여 비밀이 보장되고 순수하게 통계처리와 학위논문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되며 그 외의 목적으로는 절대로 사용하지 않을 것을 약속드립니다.
다소 번거로운 점이 있으시더라도 설문에 성실히 응답해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귀댁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2007년 4 월 일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조 사 자 : 이 종 옥
Ⅰ. 노인의 일반사항 |
|
1. 어르신은 올해 연세가 어떻게 되십니까? 만 세
2. 어르신의 성별은?
_ ➀ 남자 _ ➁ 여자
3. 어르신은 학교를 어디까지 다니셨습니까?
_ ➀다닌 적 없다(글자모름) _ ➁다닌 적 없다(글자 해독)
_ ➂서당 _ ➃초퇴/졸
_ ➄중퇴/졸 _ ➅고퇴/졸
_ ➆대퇴/졸 이상.
4. 어르신의 건강상태는 다음 중 어디에 속합니까?
_ ➀매우 건강함 _ ➁건강한 편 _ ➂보통
_ ➃건강하지 못함 - ➄매우 건강하지 못함
Ⅱ. 노인의 생활형태 |
|
5. 어르신의 결혼 상태는 다음 중 어디에 해당하십니까?
_ ➀기혼 _ ➁이혼 _ ➂별거 _ ➃미혼 _ ➄사별
6. 어르신은 현재 누구와 함께 살고 계십니까?
- ➀본인혼자 _ ➁배우자 _ ➂미혼자녀
_ ➃기혼 아들 _ ➄기혼 딸
_ ➅기 타 ( )
7. 어르신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_ ➀기독교 _ ➁천주교 _ ➂불교 _ ➃유교
_ ➄없음 _ ➅기타
8. 어르신은 종교기관(교회, 성당, 절 등)을 한 달에 몇번 정도 방문 하십니까? ( 월 회)
9. 어르신은 국가로부터 경제적 원조대상(기초생활수급권)이십니까?
_ ➀그렇다 _ ➁아니다
10. 어르신의 한 달 용돈은 얼마나 쓰십니까?
(월 원)
11. 어르신은 한달의 수입은 무엇으로 충당하십니까?
➀일을 통해서 ➁집세 ➂연금 ➃자녀로부터
➄ 기타( )
Ⅲ. 노인의 경제활동 |
|
12. 어르신은 노인종합복지관을 통해서 취업알선을 받아 일을 하고 계십니까?
_ ➀그렇다 _ ➁아니다
현재 하고 있는 일의 종류 |
일을 하고 있는 기간 |
년 개월 |
14. 어르신이 하고 계신 일을 통해서 한 달에 어느 정도 수입이 되십니까?
( 월 원)
15. 어르신의 한 달 수입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_ ➀만족스럽다 _ ➁그저 그렇다 _ ➂만족스럽지 못하다
Ⅳ.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
|
16. 어르신은 자원봉사활동을 하고 계십니까?
_ ➀그렇다 _ ➁아니다
17. 어르신께서 활동하신 자원봉사분야와 봉사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노인종합복지관에서 하고 있는 자원봉사활동에 대해서만 응답해 주십시오.
자원봉사활동의 종류 |
경력 |
매월참여시간 | |
노인대상 |
독거노인, 장애인에 대한 방문서비스활동 |
약 개월 |
월 시간정도 |
환자나 노인의 대화상대, 호스피스 활동 |
약 개월 |
월 시간정도 | |
문맹노인 한글지도 또는 영어지도 |
약 개월 |
월 시간정도 | |
무료급식소 |
약 개월 |
월 시간정도 | |
아동 청소년 대상 |
어린이에게 한자나 서예, 민속 문화지도 |
약 개월 |
월 시간정도 |
어린이들에게 방과 후 학습지도 |
약 개월 |
월 시간정도 | |
소년원, 교도소 등에서 재활지도 |
약 개월 |
월 시간정도 | |
등, 하교 길 교통정리 |
약 개월 |
월 시간정도 | |
전문영역 |
법률, 행정, 의료와 같은 전문적 상담 |
약 개월 |
월 시간정도 |
복지관 업무지원 |
복지관의 각종 행사 도우미 역할 |
약 개월 |
월 시간정도 |
복지관 행정업무 지원 |
약 개월 |
월 시간정도 | |
공익활동 |
각종 공익 캠페인 참여 |
약 개월 |
월 시간정도 |
환경미화활동 |
약 개월 |
월 시간정도 | |
재활용품 수집, 환경보호, 공해감시활동 등 |
약 개월 |
월 시간정도 |
18. 다음은 어르신의 가족들께서는 어느 정도 도움을 주는지 어르신 의 생각과 가장 가까운 항목에 응답해 주십시오.
문 항 |
매 우 그렇지 않다 |
그렇지 않다 |
그렇다 |
매우 그렇다 |
1. 항상 나의 일에 관심을 가지고 걱정해준다. |
||||
2. 내가 마음 놓고 의지할 수 있다. |
||||
3. 내가 고민되는 문제를 이야기하면 기꺼이 들어준다. |
||||
4. 내가 모르거나 이해할 수 없는 사실에 대해 알게 해 준다. |
||||
5. 내가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면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 줄 것이다. |
||||
6. 내가 아파서 누웠을 때 대신해서 일을 해준다. |
||||
7. 필요할 때 병원비나 약값을 대준다. |
||||
8. 내가 필요로 하는 물건이 있으면 사다준다. |
||||
9. 내가 몸져누워 있을 때 병수발을 해 준다. |
Ⅴ. 노인의 여가활동 프로그램 참여와 생활만족도 |
|
19. 어르신은 평소 노인종합복지관의 여가활동 프로그램에 얼마나 참여하고 계십니까? 해당 항목에 응답해 주십시오.
구분 |
여가프로그램 종류 |
참여기간 |
매월참여횟수 |
신체적영역 |
에어로빅, 건강체조, 요가, 게이트볼,당구, 노인수영, 단전호흡, 등산, 배드민턴, 댄스스포츠, 생활체조, 탁구교실, 수지침, 건강관리 강좌 |
약 년 개월 |
월 회 |
영역 |
내 용 |
전 혀 아니다 |
아니다 |
그렇다 |
매우 그렇다 |
신체적영역 |
건강이 좋아졌다. |
||||
나이보다 젊어 보인다. |
|||||
오래 살 것 같다. |
|||||
규칙적인 생활을 하게 되었다. |
구분 |
여가프로그램 종류 |
참여기간 |
매월 참여횟수 |
지적영역 |
어학영역 : 한글, 영어, 일어, 한문교실 |
약 년 개월 |
회 |
교양상식영역 : 시사무제, 문화교실, 명사초청강좌, 견학 |
약 년 개월 |
회 | |
컴퓨터영역 : 컴퓨터교육, 인터넷 |
약 년 개월 |
회 |
* 위의 프로그램에 참여한 효과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영 역 |
내 용 |
전혀아니다 |
아니다 |
그렇다 |
매우그렇다 |
지적영역 |
학습능력이 향상되었다. |
||||
사회변화를 이해하게 되었다. |
|||||
사회생활에 필요한 지식이 풍부해 졌다. |
|||||
지적 호기심이 강해졌다. |
영역 |
여가프로그램 종류 |
참여기간 |
매월참여횟수 |
정의적 영역 |
음악 : 가요, 합창, 민요 |
약 년 개월 |
회 |
미술 : 수채화, 댓생 |
약 년 개월 |
회 | |
전통문화영역 : 국악, 서예, 탈춤, 고전무용, 판소리 |
약 년 개월 |
회 | |
오락, 취미 : 바둑, 장기, 종이접기, 손뜨개, 당구 |
약 년 개월 |
회 | |
기타 : 영화감상, 생신축하, 나들이 |
약 년 개월 |
회 |
* 위의 프로그램에 참여한 효과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영역 |
내 용 |
전혀아니다 |
아니다 |
그렇다 |
매우그렇다 |
정의적 영역 |
가족과의 관계가 좋아졌다. |
||||
심리적으로 안정이 되었다. |
|||||
사는 것이 보람 있다. |
|||||
지금 행복하다. |
영 역 |
내용 |
전혀아니다 |
아니다 |
그렇다 |
매우그렇다 |
사회적 영역 |
친교가 넓어 졌다. |
||||
재취업을 희망하게 되었다. |
|||||
사회봉사활동을 희망한다. |
|||||
가정이나 사회에서 어른의 역할을 한다. |
구분 |
여가프로그램 종류 |
참여기간 |
매월참여횟수 |
사회적 영역 |
사회적 영역 : 봉사활동, 자치활동 |
약 년 개월 |
회 |
사회활동영역 : 경연대회, 행사 |
약 년 개월 |
회 | |
기타영역 : 재취업관련강좌 |
약 년 개월 |
회 |
Ⅵ. 삶의 만족도와 프로그램의 개선방안 |
|
노인종합복지관의 참여 프로그램 중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은 각각 무엇입니까? 응답하여 주십시오.
프로그램 |
여가프로그램 종류 |
신체적 영역 |
건강영역 : 에어로빅, 건강체조, 요가, 게이트볼, 당구 노인수영, 단전호흡, 등산, 배드민턴, 스포츠댄스, 생활체육, 탁구교실, 수지침, 건강관리강좌 |
개 선 점 |
표시 |
선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미비 |
|
흥미, 재미있는 프로그램 부족 |
|
프로그램 확대를 위한 예산확대 필요 |
|
프로그램 참여 시간 부족 |
|
프로그램 참여 횟수 부족(주 2회요청) |
|
프로그램 장소가 협소함 |
|
프로그램 장소가 지저분함 |
|
프로그램 장소 조명이 어둡다 |
|
포켓볼(당구)대가 부족함 |
|
전용 탁구장이 부족하다 |
|
탁구 코치가 있었으면 좋겠다 |
|
질서가 부족하다 |
|
강사가 교체되지 않았으면 좋겠다 |
|
무 응 답 |
|
합 계 |
프로그램 |
여가프로그램의 종류 |
지적영역 |
어학영역 : 한글, 영어, 일어, 한문교실 |
교양상식 영역 : 시사문제, 문화교실, 명사초청강좌 | |
컴퓨터 영역 : 컴퓨터교육, 인터넷 |
개선점 |
표시 |
자기개발을 위한 창조적 활동 필요 |
|
컴퓨터실 상시 개방 필요 |
|
정부차원의 강사 파견 필요 |
|
자주 복습기회가 주어졌으면 좋겠다 |
|
무 응 답 |
|
합 계 |
24. 정의적 영역에 참여하셨다면 개선되어야 할 점은 무엇입니까?
프로그램 |
여가프로그램 |
정의적 영역 |
음악 : 가요, 합창, 민요 |
미술 : 수채화, 댓생 | |
전통문화영역 : 국악, 서예, 탈춤, 시조 |
개 선 점 |
표 시 |
가요 프로그램 시간 부족 |
|
탈춤 프로그램 개선요망 |
|
합창 프로그램 개설 요망 |
|
무 응 답 |
|
합 계 |
25 사회적 영역 프로그램에 참여하셨다면 개선되어야 할 점은 무엇입니까?
프로그램 |
여가프로그램 종류 |
사회적영역 |
사회적 영역 : 봉사활동, 자치활동 |
사회활동영역 : 경연대회, 행사 | |
기타영역 : 재취업관련 강좌 |
개 선 점 |
표시 |
일자리 창출을 위한 실제적인 교육 필요 |
|
노인 세력화를 위한 프로그램 필요 |
|
취업교육 강사의 자질 문제 개선 |
|
프로그램이 재미가 없다 |
|
배운 것을 사회에 환원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
|
참여할 수 있는 봉사활동이 다양했으면 좋겠다 |
|
무응답 |
|
합계 |
설문에 응해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Abstract
The average span of a man’s life in Korea took a new lease of life ; 66.2 years of age in 1981, 76.5 years of age in 2001, 78.6 years of age in 2005 and it will take a new lease of life ; 81.0 years of age in 2020, 83.3 years of age in 2050.
In the case of woman, it is given about 86.6 years of age(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5) and the average span of a man’s life will be given 90 years of age reading between the lines. It may be true as a blessing but it is a problem as an aged Man Problem. Thus, it makes a issue of human life of an aged Man, security for the aged and so on. We are going to make a request about measures nationally, socially.
This study discloses a matter between social activity program in Senior Center - Leisure Activities, Volunteer Activities, Economic Activities - support programs and living satisfaction of an aged Man. It allows study for the purpose of groping methods to improve living satisfaction of an aged Man in Senior Center program. Living satisfaction is used measures authorized by reliability and validity for this study and it put in organized access questionnaires about center. Questions were used with Face-to-Face Interview Questionnaires to an aged man through the choice ; the 2 centers of the 27 centers randomly. A participant was 130 persons but it was used documents of 119 persons except for unfaithful answers. The real documents of questionnaires used SPSS 13.0 Program and grasped the relation between a participation of Senior Center program and living satisfaction through the analysis of frequency, the analysis of crossover, T-test, ANOVA and the analysis of correlation.
Analysis showed between a use standard of program and living satisfaction of an aged Man.
First, as a result of T-test to discern volunteer aged man and non volunteer aged man, it is related to living satisfaction of an aged Man according to volunteer "yes" or "no". Thus it allows study for the purpose of groping methods to volunteer positively out of consideration for an aged man's surviving values and needs in Senior Center and it needs to manage volunteer in progress with motivation and a persistent participation.
Second, as a result of the participation of Leisure Activities program and the participation of a intellectual program's living satisfaction, the more a participation program period longs and the number of times is much, the more living satisfaction has. when the leisure´s ultimate purpose is for improvement of life quality with living satisfaction, it should have a capacity to develop intellectual program solidly and have a leisure for an aged man creatively.
The Affective programs - music, art, tradition culture, folding paper into various figures, see a movie, congratulations and so on - are not intimately associated with living satisfaction. Thus, we will try to find a way for the stimulation of living satisfaction like a state of balance, a fruitless life and good feelings through the Affective programs.
The result of between the participation of social program and living satisfaction showed that the more a participation program period longs the more living satisfaction is also high. Thus it needs to devise a human plan to take part in program in a long term persistently.
Third, the result of the difference of living satisfaction on the lines of a matter of an aged man is no difference by sex, education standard, religion. But it is great difference by heath of an aged man, having a match, family types in level 0.01. Moreover, as a result of age and living satisfaction, the more age is older the more physical, affective, social satisfaction are lower. In this way, a matter of an aged man can't improve in dimension of Senior Center but it needs to have methods to promote living satisfaction of an aged man with reference to the development process of program.
Forth, as a result of relation between the support of a family and living satisfaction, the more the support of a family has, the more physical living satisfaction(0.951), affective living satisfaction(0.974) and social living satisfaction(0.956)'s correlation coefficient has. on the other hand, intellectual living satisfaction is not related to the support of a family.
Because the support of a family is a great role to maintain physical fitness of an aged man as a buffer about stress, it needs to develop various program. We have to have education for an aged man's family and counsel in order to it.
Fifth, the purpose of the study included the difference of liv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aged man's economic activity. But it is hard to analyze because the aged man's economic activity is so small. Thus, concentrated study needs about relation between economic activity program in Senior center and living satisfaction of an aged man.
In brief, we need more leisure center for an aged man like Senior Center and the use of talent to develop program professionally, systematically
keyword : satisfaction degree of life. general characteristics
taking part in social activity program. living form
'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오신화에 나타난 애정모티브 연구 (0) | 2009.04.13 |
---|